|
이제부터는 인성+소통+배려+전공적합성+창의력+발표/수행평가+협업능력이다..학교(공교육)활동 강자가 유리!
서강대 최고의 스팩은 협업능력이다! 2020학년도 수시 70% 선발 잘 짠 전략 하나면 내신1~4등급(최저3~4등급 IB36~40/GPA3.7~9)도 서강대 성공한다! 협업능력 학교 활동 강자가 유리! 2020학년도 학생부종합 학생부종합(종합형), 학생부종합(학업형) ,농어촌,전문계 바로 이런 학생들을 선발하기 위한 전형이다
2020학년도 신입학 전형계획 안내 <=기사원문보기클릭(저작권 관계)=>수시 : 1,103명 (70.0%) 수시 수시 학생부종합(종합형), 학생부종합(학업형) 지원자격 제한 전면 폐지 2020 서강대 정시확대 논술축소.. 학종 수능최저/면접 ‘전면 폐지’ 2018학년도 서강대학교 입학전형 선행학습 영향평가 결과 공지
내신으로 선을 그으면 안 된다. 전 과목을 잘하는 학생도 있고, 특정 과목만 뛰어난 학생도 있다. 처음엔 성적이 좋지 않더라고 3년 내내 성적이 오른 학생도 있다.
이렇게 다양한 학생들을 내신 등급 상의 숫자만으로 일도양단하진 않는다. 특정 분야에서 어떤 노력을 기울였는지가 드러난다면 몇 등급인지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
서강대 문과 3등급, 이과 3.5등급까지 만점을 부여..김 입학처장은 “지원하는 학생이 전공과 본인의 특성을 반드시 연결하는 활동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다”며 “대학에서는 이름만 거창한 활동을 요구하지 않는다”고 조언했다. 김 입학처장은 “오히려 입학 후 학문을 습득해 나갈 수 있는 가능성과 기본 역량을 보여주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1학년 때 잘하다가 2학년 때 좀 떨어질 수도..
실패와 실수도 스펙(고려대)..실패를 두려워 하지 말고 "자신의 목소리를 내주세요"[방탄소년단 BTS/UN연설문](And maybe I made mistake yesterday, but yesterday's me is still me. Today, I am who I am with all of my faults and my mistakes. Tomorrow, I might be a tiny bit wiser, and that would be me, too.) And maybe I made mistake yesterday, but yesterday's me is still me. Today, I am who I am with all of my faults and my mistakes. Tomorrow, I might be a tiny bit wiser, and that would be me, too. 김연자 아모르파티(Amor fati)자신에게 실망 하지마 모든걸 잘할 순 없어 오늘보다 더 나은 내일이면 돼 가슴이 뛰는 대로 하면 되는 거야
예상2020학년도 서강대 학생부종합 자기주도형/일반형 알바트로스창의전형 재외국민전형 학생부종합전형 수시합격점수(내신1~4 최저3~4등급 IB36~40/GPA3.7~9)지원학과의 연관성이 가미된 진실된 스토리가 가장 중요하고 지원학과의 연관성이 가미된 고교별교육프로그램 등 진실된 고교활동(연구보고서, 교내수상 및 활동경력, 발표된 창의적 아이디어 스토리)이 최우선 과제로 면접 승부 가능
-학생부종합전형 “교과성적 0.1~0.2점보다는 3년 동안 학생이 어떻게 생활했는지와 학업 외적 능력을 두루 보겠다는 의미다.”-합격생들의 내신성적 평균 수준은..“인문계 1.7등급, 자연계 1.9등급. 활동내역이 뛰어날 경우 내신등급을 극복할 수 있도록 다방면에서 평가.”
학생부종합전형 (학업형)은 내신에 강한 학교장 추천이 유리한 일반고생이 좀 유리하고.. 학생부종합전형(종합형)은 고교프로그램 우수한 일반고 특목고 자사고 강남 학생들이 좀 유리하다
학생부종합전형(종합형)
국내·외 정규 고등학교 졸업(예정)자 또는 관련 법령에 의하여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 되는 자 2020년 2월 2학년 수료예정자 중 상급학교 조기입학 자격 부여자(상급학교 진학대상자)도 지원 가능
서류평가 100%(1,000점) [필수]▶ 학교생활기록부▶ 자기소개서▶ 추천서 (선택)
학생부종합전형(학업형)
국내·외 정규 고등학교 졸업(예정)자 또는 관련 법령에 의하여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 되는 자 2020년 2월 2학년 수료예정자 중 상급학교 조기입학 자격 부여자(상급학교 진학대상자)도 지원 가능
서류평가 100%(1,000점) [필수]▶ 학교생활기록부▶ 자기소개서▶ 추천서 (선택)
"공교육정상화 차원에서 외국어특기자 및 수학·과학특기자 전형의 별도 선발 없이 학생부종합전형에 편입"
학생부종합 (종합형 학업형)은 학업을 포함한 학교생활에 적극적으로 임한 학생을 뽑는 가장 보편적인 전형이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지 않는다. 임 처장은 수시 자기소개서 작성 시 학생들이 유의할 점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작성 전 자기소개서를 왜 쓰는지부터 이해하라”며 “내가 남보다 뛰어나다고 어필하는 것이 아니라 ‘남과 내가 어떻게 다른지’, 즉 ‘내가 누구인지’를 알리는 서류라는 점을 명심하라”고 조언했다.
학생부종합(SW우수자)
국내·외 정규 고등학교 졸업(예정)자 또는 관련 법령에 의하여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 되는 자로서 소프트웨어 분야에 관련된 역량을 갖춘 자 ※ 2020년 2월 2학년 수료예정자 중 상급학교 조기입학 자격 부여자(상급학교 진학대상자)도 지원 가능
서류평가 100%(1,000점) [필수]▶ 학교생활기록부▶ 자기소개서▶ 추천서 (선택)
재외국민전형 서강대 재외국민전형 정원외 2% 전형요소 변경 재외국민전형 정원외 2%의 경우 2016학년도부터 필기시험을 폐지하고 서류로 평가하여 선발 재외국민전형 자격 요건은 요강 참조
2,예상2020학년도 학교(내신포함)활동이 좋다면 수시 학생부종합전형을, 논술 실력이 뛰어나다면 수시 논술전형 (내신1~4 최저3~4등급 IB36~40/GPA3.7~9)에 비교과영역1~3개 지원학과의 연관성이 가미된 진실된 스토리가 가장 중요하고 지원학과의 연관성이 가미된 고교별교육프로그램 등 진실된 고교활동(연구보고서, 교내수상 및 활동경력, 발표된 창의적 아이디어 스토리)이 최우선 과제 논술로 뒤집기가 가능... 논술의 영향력이 절대적이란 얘기다.....-‘논술 영향력이 절대적’이라는 의미는... “내신으로 줄을 세운 뒤 논술 능력을 평가하기 보다 논술이 당락을 가른다. 내신 2~3등급대 합격생이 많지만, 지난해의 경우 일반계고 출신을 기준으로 합격생의 10~15% 정도가 내신 3~4등급이었다.”..-학생부종합전형 “교과성적 0.1~0.2점보다는 3년 동안 학생이 어떻게 생활했는지와 학업 외적 능력을 두루 보겠다는 의미다.”-합격생들의 내신성적 수준은..“인문계 1.7등급, 자연계 1.9등급. 활동내역이 뛰어날 경우 내신등급을 극복할 수 있도록 다방면에서 평가.”
논술80%+교과10%+비교과10% 국내/외 정규 고교 졸업(예정)자 또는 관련 법령에 의한 고교 졸업 동등 이상 학력 보유자면 지원 가능하다.
수능 최저학력기준 국어, 수학(가/나), 영어, 탐구(사회/과학) 4개 영역 중 3개 영역 등급합 6 이내이고 한국사 4등급 이내
3,예상2020학년도 수시 고른기회 대상자(통합)농어촌특별전형 내신1.3~3.5등급에 비교과영역1~3개 지원학과의 연관성이 가미된 진실된 스토리가 가장 중요하고 지원학과의 연관성이 가미된 고교별교육프로그램 등 진실된 고교활동(연구보고서, 교내수상 및 활동경력, 발표된 창의적 아이디어 스토리)이 최우선 과제
서류평가 100%(1,000점) [필수]▶ 학교생활기록부▶ 자기소개서▶ 추천서 (선택)
대학수학능력시험 최저학력기준 : 적용하지 않음
정시 농어촌특별전형 내신2~5등급에 비교과영역1~3개 수능(인문)평균2.7등급 이상, (자연)2.9등급 이상
4,예상2020학년도 수시 전문계고교출신자특별전형 내신1.3~3.5등급에 비교과영역1~3개 지원학과의 연관성이 가미된 진실된 스토리가 가장 중요하고 지원학과의 연관성이 가미된 고교별교육프로그램 등 진실된 고교활동(연구보고서, 교내수상 및 활동경력, 발표된 창의적 아이디어 스토리)수능최저가 최우선 과제
서류평가 100%(1,000점) [필수]▶ 학교생활기록부▶ 자기소개서▶ 추천서 (선택)
대학수학능력시험 최저학력기준 : 적용하지 않음
정시 전문계고교출신자특별전형 내신2~5등급에 비교과영역1~3개 수능(인문)평균2.7등급 이상, (자연)2.9등급 이상
최고의 스팩은 협업능력이다! ‘혼자서 할 수 있는 일은 없다’
서강대 최고의 스팩은 협업능력이다! 2020학년도 수시 70% 선발 잘 짠 전략 하나면 내신1~4등급(최저3~4등급 IB36~40/GPA3.7~9)도 서강대 성공한다! 협업능력 학교 활동 강자가 유리! 2020학년도 학생부종합 학생부종합(종합형), 학생부종합(학업형) ,농어촌,전문계 바로 이런 학생들을 선발하기 위한 전형이다
어른들의 박수가 쏟아집니다. 아이들은 누가 먼저 결승점을 통과하는지가 중요하지 않았습니다. 1등보다 넘어진 친구에 대한 걱정이 훨씬 컸습니다.
"학종시대, 서류로 대학간다... 입시 DNA를 바꿔라" '점수'는 설 자리를 잃었고, '학교생활기록부'가 중심이 됐다는 의미다. "점수로 줄을 세워 뽑는 입시는 끝이 났다는 것을 상징한다" 한국 인재 경쟁력 또 떨어져 세계 39위..중국과 간발의 차
대학 핵심 면접 2018,9,20학년도 적중 예상 문제 답은 '인성과 창의력은 교육하는 것이 아니라 깨치게 하는 것' (인성+소통+배려+수행평가/협업수업+전공적합성+창의력+발표+협업능력)면접 자기소개서 위주로 선발..대학입시&공공기관기업체선발 탈 스팩 전공직무적합성 인성평가 면접 위주로 선발"토익점수·학력 빼라"SK,LG,현대,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경희대 건국대 서울시립대 인하대 동국대 .. "SKY 더 우대해달라"는 고대생 페북글에 '사이다' 일침 날린 누리꾼 "뭐 어때, 아무도 모를텐데".. '대나무숲' 익명 고백 명암
면접 논구술 에세이 적중문제 '강추' 협업(협치)능력 ‘혼자서 할 수 있는 일은 없다’ 자기소개서 까면 깔수록 새로운 양파와 같은 면접
질문 1. 학생은 어떻게 협업할 것인가?
학생이 그동안 해결한 문제가 무엇인지 예를 들어보고 과정을 설명해 보라.. 왜 그렇게 생각했는지, 그 결과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어떤 학생이 학교 가정 사회에서 인정받는가?
첫째, 학교 가정 사회에서 차별화된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특정과목 등 특기 특별활동에서 월등한자
스탠퍼드대만 해도 ‘정교수 2000여 명 각자가 최고경영자(CEO)’라고 불릴 정도로 교수들의 자존심이 강하기로 유명하지만 그들 사이에서 통하는 대원칙은 ‘혼자서 할 수 있는 일은 없다’이다. 에이미 리 스탠퍼드대 국제협력부문 연구원은 “요즘엔 융합 연구가 워낙 활발하다 보니 교수들이 대학원생을 뽑을 때 다른 과 학생을 더 선호할 정도”라고 말했다.
구글이 찾는 인재? 능력 뛰어나도 협업 못하면 NO!미래에는 '협업하는 괴짜'가 성공한다미래 인재의 핵심 역량 '협업력'이 뜬다
2019학년도 신입학 전형계획 안내 <=기사원문보기클릭(저작권 관계)=>수시 : 1,262명 (79.8%) / 정시 : 320명 (20.2%) 수시 학생부종합(자기주도형) 학교생활보충자료 폐지 2020 서강대 정시확대 논술축소.. 학종 수능최저/면접 ‘전면 폐지’
2018학년과 거의 동일.. 일반형 사회통합 수능최저는 인문/자연계열. 교차지원이 가능한 가운데 수능최저[학생부종합(일반형/사회통합), 논술]는 2018학년 '3개영역 각 2등급 이내이면서 한국사 4등급 이내'에서 2019학년 ‘3개영역 등급합 6 이내이면서 한국사 4등급 이내’로 완화
내신으로 선을 그으면 안 된다. 전 과목을 잘하는 학생도 있고, 특정 과목만 뛰어난 학생도 있다. 처음엔 성적이 좋지 않더라고 3년 내내 성적이 오른 학생도 있다.
이렇게 다양한 학생들을 내신 등급 상의 숫자만으로 일도양단하진 않는다. 특정 분야에서 어떤 노력을 기울였는지가 드러난다면 몇 등급인지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
서강대 문과 3등급, 이과 3.5등급까지 만점을 부여..김 입학처장은 “지원하는 학생이 전공과 본인의 특성을 반드시 연결하는 활동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다”며 “대학에서는 이름만 거창한 활동을 요구하지 않는다”고 조언했다. 김 입학처장은 “오히려 입학 후 학문을 습득해 나갈 수 있는 가능성과 기본 역량을 보여주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1학년 때 잘하다가 2학년 때 좀 떨어질 수도..
최근엔 대학입시와 기업도 스펙보다 "인성을 중시"하는 추세다.
좋은 인성은 하루 아침에 갖추어지지 않는다 어려서부터 가까운 주변 사회에 관심을 갖고 서로 소통해야
'궁금한Y'...'부산 여중생 폭행사건', 잔인한 폭력 막을 수 없나학교 집단폭행 금수저 재벌총수 손자 풍문으로들었쇼 연예인 아들 집단 폭행 사건 초등학교 학비 천만원풍문으로 들었show 연예 금수저 봐주기 <=기사원문보기클릭(저작권 관계)=>"니네 부모를 원망해… 돈도 실력이야" 학대, 살인.. 지금 가족에게 무슨 일이
.. 학대, 살인.. 지금 가족에게 무슨 일이 친부모가 '살인'까지… '인천·부천'서 잇따르는 아동학대 " 세월호도, 교사 폭행도..'부끄러운 어른들' '핵펀치' 보육교사 폭행 인질범 김상훈, 작은 딸 살해 전..성폭행 시도 `막말 인성의 한계인가`남양유업 사과 남양우유에 기내식 라면까지 윤창중 패러디사진 봇물… 땅콩 회항' 국제적 망신 "제가 교육을 잘못했습니다" ‘권력형 성범죄’ 빈번한 사회 강남 성형외과, 수술실 셀카 사과 "철저히 교육 못해 죄송"..신뢰도 걱정? '전국 1%' 외고생의 시험지 절도.. 돈받고 학생 '가짜스펙' 쌓아줘 대학보낸 불량 교사들 10대의 왕따 폭력 문화가 군대로 이어져'정신적 구타' '이준석 방지법' 인성교육부터“ 난 이렇게 아들의 '스펙 조작'에 가담했다 자사고 전교 1등 투신, “머리가 심장 갉아먹어” '내신 1등급' 고3, 아버지에 맞고도 "입시 거부" 왜? '신림동 비하 논쟁'신림역 근처엔 왜 이렇게 질 떨어지는 사람이 많죠?=>이런 일련의 사건 등 사람이 하나의 회사를 망칠수도 있고 가정과 사회를 망칠수도 있다는 사실이 현실로 다가와 “현재 아니 이미 2~3년전부터 대입 수시모집에서 자기소개서와 면접을 통해 인성 반영이 상당히 강화되고 있다” "바쁜데 우는 애 만나면 … " 이런 질문 던져 인성평가
2018학년도 서울연고대 등 기타 면접 실제 문제
1,제시문 토대로 하는 인구 증가와 감소 이유 출산률 원인 지역별 차이점 사회적 문제점 가)나)다) 지문 중 공통성 단어 하나로 말 하시오 다)라)마) 지문 중 공통적으로 어떤 단어가 들어가는가
멘델의 유전법칙 빛의 스펙트럼 증류장치 픽셀 쉐라의 점묘화 알파고의 학습과정 아날로그신호와 디지털신호 커피와 간질환 등 물리,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분야를 아우르는 다양한 제시문을 토대로 지원자의 과학적 문제에 대한 관심과 사고력을 평가하는 문제가 출제..
‘도시와 시골 학생의 놀이시간’과 행복도를 나타내는 도표를 포함한 총 4개로, 핵심주제인 ‘놀이’와 ‘행복’
질문은 △행복과 놀이의 관계분석 △행복을 보는 관점 △도시와 시골 학생의 행복지수 △도표 분석과 관련된 4개의 세부질문으로 구성
볼트와 너트를 조합하는 알고리즘을 찾는 질문, 폭발물의 해체 방법을 논리적으로 증명하는 질문, 본인이 겪었던 소프트웨어 문제와 해결전략을 묻는 질문 소프트웨어 특기자로서의 소양을 평가하는 질문,.
자기소개서 기반 면접, 자기소개 , 경영학과 지원에 영향을 준 책, 동아리 활동 중 인상 깊었던 경형, 장점, 상대성이론, 체험간 내용 확인, 진로 지원동기, 10년후 무엇을 하고 있을 것 같나, 3년 동안 다양한 활동 중 기억에 남는 것은. 복지제도, 논문내용 확인, 보고서 쓴 경험 중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마지막으로 자기싶은 말은, 전기 전자에 관심 많다했더니->그럼 전기전자가지 물리학과왔어->이러시길래 물리가 세상에 근본이 되는 학문이라고 생각해서 물리학과에 지원했습니다->맞는 말이다 그거 누구한테 들었냐->선생님한테 듣고 공부하다보니 느꼇다
인성면접 학생부를 토대로 학생회 및 동아리 활동, 연구보고서, 독서경험에 대한 질문을 하는 경우가 많았고 학과별로 지원동기와 학습계획을 묻는 질문도 있었다. ‘어려웠던 과목을 극복한 방법’ ‘회장을 하면서 어려웠던 점과 극복 방안’ 등 역경을 극복한 경험을 묻는 질문,.
2,토론 면접 내신 성적 등의 자료를 주고 전교학생회장 후보자 선정 학생 회장 후보 선출 시 가장 고려 해야 할 3가지 선택해서 순위 정하기->공약, 성적, 교우관계,교사와의 관계,리더십 경험, 봉사시간
국제기업의 윤리적경영
맹자 현실주의 현실주의 사례로 사드배치 나오던데 저는 사드배치가 초래한 국가간 갈등을 언급하면서 이래서 현실주의는 안좋아! 북한 핵 개발 국제사회 관계 악화 최저시급 카탈루냐 독립 첫 번째 지문은, 맹자가 군주에게 하는 말로.. 군자가 국익을 추구하게 되면, 부자는 부를, 개개인은 자신의 가정을, 즉.. 국가의 국익은 전체적으로 증진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군자는 우호 (배려)와 정의 추구에 힘써야 한다. 1. 맹자는 국익을 추구하지 않을 때 국익이 증진된다고 보았다. 이를 모순이라고 보는가? 2. 맹자가 세운 가설을 제시하시오. 두 번째 지문 현실주의에 관한 지 3. 현실주의에 반대되는 현재 사례 또는 미래 사례 제시하시오. 4. 맹자가 현실주의자에게 비판할 점? 수업시간에 말썽피우는 학생은 어떻게 관리할거냐 서울대 수시 일반전형 면접 '평이'…방탄소년단 인기 이유 묻기도
인문계열의 사회과학 관련 제시문으로는 오전에는 효율성에 관한 영문 지문, 실업 수당과 임금 보조금 지급, 흡연과 비만으로 인한 만성질병과 치료에 대한 복지 정책에 관한 지문이 나왔다. 첫 번째로는 효율성을 바탕으로 실업 수당과 치료비 지급 등에 관한 두 정책을 평가하는 것, 두 번째 문제로는 지문에 제시된 두 정책의 공통적인 한계점을 찾고, 이것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설명하는 것이다. 오후에는 제시문으로 니체와 타자기, 택시 기사의 길 찾기, 사진과 영어 지문으로 인터넷 신문기사 읽을 때 시선의 방향에 대한 실험(F자 읽기) 등이 나왔고, 첫 번째 문제로는 두 지문의 공통된 요지 말하는 것, 두 번째 문제로는 F자 읽기가 어떤 변화를 가져올 것인가에 대한 주장을 개진하는 것이었다.
인문학 관련 제시문으로 오전에는 백남준의 융복합 예술, 오페라의 탄생 과정, 정자영의 '견월망지'에 관한 나왔고, 첫 번째 문제로는 융복합 예술의 특징을 설명하는 것, 두 번째 문제로는 두 작품은 지속 가능한 관점에서 성공한 작품인 데, 본인이 생각하는 성공한 작품의 기준은 무엇인지 설명하는 것이었다. 두 번째 문제 중 추가 질문으로는 학생에 따라 ‘방탄소년단이 해외에서 인기를 끄는 이유’를 물어보기도 했다. 오후에는 제시문으로 유세 이야기, 화자와 의사의 환자 설득, 음식의 예를 통해 정치술과 의료 기술, 연설의 기술 등에 관한 지문이 나왔고, 첫 번째 문제로는 화자가 의사와 달리 설득에 성공했다고 했을 때, 가능한 상황을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설명하는 것, 두 번째 문제로는 화자가 정치에 참여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는 데 이러한 주장이 정당한지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는 것이었다.
사범대는 일반 면접 이외에 교직적성ㆍ인성면접이 추가되어 첫 번째 문제로 지식은 높고 즐거움이 낮은 상황을 본인의 관점에서 이유를 설명하는 것, 두 번째 문제는 교육의 결과로 ‘아는 자’를 만드는 게 우선이 돼야 하는지 ‘즐기는 자’를 만드는 게 우선이 돼야 하는지, 세 번째 문제로는 지식은 높지만, 흥미가 낮은 학생에 대해 자신이 교사가 되었을 때 사용할 교육 방법을 설명하는 문항이 나왔다. 인문계열 중 경제학부, 경영학부, 소비자아동학부 등은 수학 문항(접선, 삼차함수와 정적분, 무한급수 등)이 사회과학 관련 제시문과 함께 출제됐다. 다음으로 공과대학, 자연대, 농생대 등에서 출제된 자연계 수학 문항으로는 직선과 평면의 개수, 좌표평면과 접선, 삼각형의 넓이, 정적분 계산 등이 나왔다. 자연계열의 과학 문항으로는 물리에서 핵반응, 충돌, 화학에서 반응물과 연소열, 산화와 환원, 생명과학에서 염색체, 세포막, 지구과학에서는 심층순환, 푄현상 등이 출제됐다. 면접 답변 준비 시간은 인문계열이 30분 내외, 자연계열은 45분 내외였고, 면접시간은 인문, 자연 모두 15분 내외로 주로 공동 출제 문항에 대한 답변을 중심으로 이뤄졌다.
(학생부종합/일반형.자기주도형,전문계,알바트로스창의,재외국민,농어촌) 학생부종합시대 수시 올인(인성+소통+배려+수행평가/협업수업+전공적합성+창의력+발표+컨설팅+자기소개서+협업능력)대비 면접반(일요일1시)개강 =>예약은 카톡(id:daehak7)혹은 대학입시 010-8750-2572 대치동학종전문학원 전문가
[문재인 당선] 수능·고교 내신 완전 절대평가제로…입시정책 확 바뀔 듯...대학입시를 학생부 교과, 학생부 종합, 수능 전형 세 가지로 단순화하고 논술이나 특기자 전형(영어, 수학, 과학) 등 사교육을 유발하는 전형은 대폭 축소 또는 폐지하겠다고 밝혔다...문 당선인 측은 고교 내신 역시 "절대평가로 전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장기적으로는 수능을 자격고사화 하는 방안을 비중 있게 검토.. 앞으로 대한민국 입시는 공교육이 답이다.. 외고·자사고 폐지 가능성 커..이에 따라 선발 시기에 따라 전기고, 후기고로 나뉘던 현행 제도 대신 일반고와 자사고, 특목고를 같은 시기에 뽑는 방향으로 정책이 조정될 것이란 관측이다.
2018,9,20학년도 입시('최순실사건' 영향으로 대학 개인 사회 기업 국가공공단체 스스로 변화 한다)말하다
서울대 주최 ‘샤 교육 포럼’, 미래 교육의 방향을 묻다
대학입시&공공기관기업체선발 탈 스팩 전공직무적합성 인성평가 면접 위주로 선발"토익점수·학력 빼라"SK,LG,현대,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경희대 건국대 서울시립대 인하대 동국대 .. <=기사원문보기클릭(저작권 관계)=>서울대 '부끄러운 동문상' 1위 우병우 김진태 의원 2위, 조윤선 장관 3위… '멍에의 전당'엔 김기춘 1위..연세대 '최악의 동문' 후보 발표..최경환·나향욱·장시호 상위권“민중은 개돼지” 면접관 아버지 덕에 합격..반칙이 횡행하는 사회..염재호 고려대 총장은 "한국 사회에서 최순실·정유라 사건은 평생 노력하면 결국 좋은 직장과 소득으로 보답 받을 수 있다는 '사회적 계약'이 깨진 단면을 보여줬다"며 "광장에 모여든 촛불의 외침도 결국 나와 가족이 풀 수 없는 양극화에 대한 해답을 사회가 찾아달라는 것이었다"고 말했다. "돈도 실력이야. 억울하면 니네 부모를 원망해." 염재호 총장 입시혁명 선언 이화여대 연세대 고민에 빠졌다는데...학업 성적보다는 인품(사람 중심)위주로 선발한다는 것이다..학교생활을 기준으로 인간성과 리더십 그리고 사회 기여 가능성 등을 보고 뽑겠다는 것이다.고려대학교가 논술을 완전폐지한다. '변혁의 시작' 고려대 2018입시설명회..‘공교육 정상화’ 학종 A2Z 4차 산업혁명시대는 지금 같은 암기 위주나 실수 안하기 위주의 공부방식으로는 미래가 없다. 전형정책의 큰 틀은 자기주도능력, 문제해결능력, 합리적 결론을 도출하는 과정, 잠재력 캐내기, 복합지능이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고려대가 원하는 인재상인 개척하는 지성을 발굴하겠다.
[2018 전형계획] 서강대 수시80%.. '확대'학종56% 873명 <=기사원문보기클릭(저작권 관계)=>2018학년도 입시 학종 확대 선발 2018 서강대, 학종(51.3%) 대폭확대 특기자(2.6%) 대폭축소 2018 서강대 입시, 10명 중 8명 수시로 뽑는다… SW 특기자전형도 신설 수시(80.1%), 정시(19.9%)수능 영어 1·2 등급 간 점수 차는 1점 서강대·숙명여대·연세대·중앙대·한국외대가 말하는 ‘학생부종합전형’
서강대 문과 3등급, 이과 3.5등급까지 만점을 부여..김 입학처장은 “지원하는 학생이 전공과 본인의 특성을 반드시 연결하는 활동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다”며 “대학에서는 이름만 거창한 활동을 요구하지 않는다”고 조언했다. 김 입학처장은 “오히려 입학 후 학문을 습득해 나갈 수 있는 가능성과 기본 역량을 보여주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1학년 때 잘하다가 2학년 때 좀 떨어질 수도.. 서강대 면접 “차별화된 역량 드러낼 수 있는 인성중심 면접... [2018수시특집] 평가자 관점에서 본 ‘2018 서강대 학종으로 가는 길’
○ 서강대 “내신 등급만으로 일도양단하진 않는다”
Q. 학생부 10개의 항목 중 평가에서 가장 중요하게 활용하는 항목은 무엇인가? 세 가지를 얘기해달라.
A. 강경진 서강대 입학사정관: 교과 성적과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으로 구성된 ‘교과학습발달상황’을 가장 중점적으로 본다. 그 다음에 함께 주로 보는 것이 수상경력과 창의적 체험활동상황이다.
‘내신 몇 등급이면 지원할 수 있나요’라는 질문을 많이 받는데 내신으로 선을 그으면 안 된다. 전 과목을 잘하는 학생도 있고, 특정 과목만 뛰어난 학생도 있다. 처음엔 성적이 좋지 않더라고 3년 내내 성적이 오른 학생도 있다.
이렇게 다양한 학생들을 내신 등급 상의 숫자만으로 일도양단하진 않는다. 특정 분야에서 어떤 노력을 기울였는지가 드러난다면 몇 등급인지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 그 노력은 수상경력과 창의적 체험활동상황을 통해 평가한다.
내신 성적은 좋지 않지만 수학경시대회에서 매번 상을 타는 학생이 있다. 이것만 보고는 이 학생이 수학을 잘하는지 못하는지 알 수 없다. 하지만 동아리와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을 함께 본다면 ‘이 학생은 내신 성적은 조금 떨어지지만 수학을 좋아하고 열심히 하려고 하는 구나’라고 평가하게 된다.
서강대는 독서를 강조하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독서를 권장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동아리활동을 하든 자율 활동을 하든 어떤 노력을 할 때에는 독서를 하게 돼 있다. 모든 활동에 독서가 녹아있다고 생각한다.
과연 서강대도 건국대 처럼 국영수 점수가 아닌 다양한 재능과 잠재력 열정과 발전가능성을 보는 '학생부종합전형' 사람 중심 선발! 과연 그럴까? 안그럴까? 3년간 특목고 최대 선발 대학은 성대 ..올해는 고대 1위
만능 1등만 중시하는 대한민국입시가 만들어낸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해당 학교는 지난해 입시에서 서울대에 5명을 진학시켰다. 광주에서 네 번째로 많았다.
2015학년도 입시에서도 8명이 합격할 정도로 입시 성적이 좋았다... 성적 우수학생 관리…한번 1등급은 졸업할 때까지 1등급
이러한 범죄 학생들을 서울연고대 등 주요 대학들이 걸러 내지 못한다면 '학생부종합' 정착은 불가능 할 것이다.
대학은 자기소개서와 면접을 통해 학생의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한다. 글과 말로 하는 의사소통 능력을 두루 살피는 셈이다.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실질적인 평가 비중은 꽤나 높다. 서울 4년제 대학의 한 입학사정관은 "면접 최저점수와 최고점수의 차가 당락을 바꿀 만큼 면접의 영향력이 크다"며 "의사소통 능력이 부족하다고 판단하면 학교생활기록부(학생부)에서 드러난 전공적합성, 종합사고력에 대한 점수를 믿을 수 없게 된다"고 했다.
대학이 원하는 인재상에 의사소통 능력이 강조되는 이유는 취업률을 고려하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있다. 대학에서 능력을 갖추고 취업하거나 사회에 진출할 때 의사소통 능력은 가장 중요한 업무능력 중 하나다. 조직생활하지 않는 일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산업 현장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직무능력을 표준화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 가장 기초적으로 평가하는 부분도 의사소통 능력이다.
※ 2017학년도 한양대·서강대 수시 면접고사 분야별 세부 질문
1. 인성
- 자기소개를 해보시오. (서강대 알바트로스) - 자신을 간단히 소개해보시오. (한양대 교과) - 학생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지 말해보시오. (한양대 교과) - 경제를 공부 할 때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되는 자신의 강점은 무엇인가? (한양대 교과) - 가장 행복했던 순간에 대해 말해보시오. (서강대 알바트로스) -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가? (한양대 교과) - 장래희망에 대해 말해보시오. (서강대 알바트로스) - 미래 10년 후 ‘나의 모습’을 말해보시오. (한양대 교과) - 역경을 극복한 사례가 있다면 말해보시오. (한양대 교과) - 글로벌 리더에게 필요한 역량은 무엇인가? (한양대 교과) - 임원 활동이 많았는데 본인이 생각하는 리더십이란? (한양대 교과) - 학생은 이끌어가는 리더인지, 밀어주는 리더인지 이야기 해보시오. (한양대 교과) - 본인이 생각하는 리더십과 바람직한 리더상은 무엇인가? (한양대 교과) - 리더십 자질은 무엇이라 생각하고 그 이유는 무엇인가? (한양대 교과) - 학생은 어떤 유형의 리더였나? (한양대 교과) - 사학자 역사인물 중 가장 존경하는 인물은? (한양대 교과) - 사회적 약자를 돕기 위해 하고 싶은 일은? (한양대 교과) - 기억에 남는 책은 무엇인가? 인격적으로 도움이 됐던 책은? (한양대 교과)
2. 전공적성
- 지원동기에 대해 말해보시오. (서강대 알바트로스) - 전공 선택에 대하여 부모님과 마찰은 없었는지 말해보시오. (한양대 교과) - 경영학을 배우기 위해 필요한 자질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한양대 교과) - 기업의 주인은 누구라고 생각하는가? (한양대 교과) - 자신이 경영학에 자질이 있다고 보는가? (한양대 교과) - 어떤 국어선생님이 되고 싶은가? (한양대 교과) - 영어교사가 되고 싶은 이유는 무엇인가? (한양대 교과) - 간호학과에 들어오려는 이유는? (한양대 교과) - 간호학과에 들어와서 하고 싶은 일은 무엇인가? (한양대 교과) - 관광학부에 지원한 이유는 무엇인가? (한양대 교과) - 어떤 건축가가 되고 싶은가? (한양대 교과) - 꿈을 가지게 된 계기가 무엇인가? 왜 지역 공무원이 꿈인가? (한양대 교과) - 친환경자동차에 관심이 많았다고 하는데 관심을 갖게 된 계기는? (한양대 교과) - 어떤 실내디자이너가 되고 싶은가? (한양대 교과) - 원자력 공학의 발전을 위해 무엇을 하고 싶은가? (한양대 교과) - 식품영양학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 (한양대 교과) - 자신의 꿈과 영문학과의 연관성은 무엇인가? (한양대 교과) - 다독상을 수상했는데 교육과 관련된 책을 읽은 적이 있는가? (한양대 교과) - 경영학 관련해서 읽은 책은? 인상 깊었던 점을 구체적으로 말해보시오. (한양대 교과) - 경제 관련 도서 중 인상 깊었던 책을 말해보아라. (한양대 교과) - 입학 후 학업 계획에 대해 말해보시오. (서강대 알바트로스) - 장래 희망(장래 나의 모습)에 대해 말해보시오. (서강대 알바트로스) - 학업계획을 설명해보아라. (한양대 교과) - 학교에 들어와서 계획은 무엇인가? (한양대 교과) - Art&Technology에 입학하면 어떤 사람이 될지 말해보시오. (서강대 알바트로스) - 건축에서 제일 중요시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한양대 교과) - 독일교육처럼 나아가야한다고 했는데 어떤 방향을 말하는 것인가? (한양대 교과) - 미술에서 글쓰기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나? (한양대 교과) - 영어를 잘 한다는 것을 증명해보라. (한양대 교과) - 자신이 생각하는 기자 상은? 국민의 알권리와 재난보도 가이드라인이 충돌할 때 어떻게 할 것인지? (한양대 교과) - 수학이 건축에 어떻게 이용되는지 말해보라. (한양대 교과) - 생활 속에서 느꼈던 건축에 대한 관심에 대해서 설명하라. (한양대 교과) - 빙판에서 차가 달릴 수 없는 이유를 뉴턴의 제2법칙을 적용하여 설명하라. (한양대 교과) - 인공지능을 로봇에 어떻게 이용할 수 있는가? (한양대 교과) - 항공 동아리 관련 질문, 드론과 비행기의 차이점은? (한양대 교과) - 생명과학과 생명공학의 차이를 말해보아라. (한양대 교과) - 바이러스와 세균의 차이는 무엇인가? (한양대 교과)) - 피보나치수열을 설명해보아라. (한양대 교과) - 기하와 벡터가 실생활에 이용되는 예는 무엇인가? (한양대 교과) - 4세대 원자력 원료가 무엇인가? (한양대 교과) - 학과와 관련 있는 활동이 있다면 설명을 해보아라. (한양대 교과)
3. 서류 내용 확인
- 특정 시기에 성적이 오른 이유에 대해 말해보시오. (서강대 알바트로스) - 좋아하는 과목과 싫어하는 과목은 무엇인가? (한양대 교과) - 자신에게 영향을 준 과목은 무엇인가? (한양대 교과) - ‘정보와 사회’ 과목에서 6등급을 받았는데 이유가 무엇인가? (한양대 교과) - 수학 성적이 유독 떨어졌는데 그 이유는? (한양대 교과) - 질병, 조퇴가 있는데 대학 들어와서도 그런 일이 생기면 어떻게 할 것인가? (한양대 교과) - 가장 최근에 교과목 선생님과 토론, 질문을 한 예가 있다면 말해보라. (한양대 교과) - 학교 생활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일에 대해 말해보시오. (서강대 알바트로스) - R&E(연구관련, 연구내용, 탐구활동)내용을 자세히 설명해보시오. (서강대 알바트로스) - 학생부에 논문 쓰기 활동을 했다고 했는데 당시 본인의 역할을 말해보시오. (한양대 교과) - 교내 수상 관리는 어떻게 했는가? (한양대 교과) - 수상 실적이 적은 이유를 설명해 보아라. (한양대 교과) - 수상 실적 중 가장 인상 깊은 것과 구체적인 내용은 무엇인가? (한양대 교과) - 교내 대회는 무엇에 참여했고 어떤 일을 하였는가? (한양대 교과) - 발명품 아이디어 상을 받았는데 내용이 무엇인가? (한양대 교과) - 경영 관련 수상 실적을 설명해주시오. (한양대 교과) - 어떤 동아리 활동을 하였나? 거기서 느낀 점은? (한양대 교과) - 동아리 활동 내용을 설명해보아라. 동아리 활동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가? (한양대 교과) - 과학탐구 토론 대회에서 어떤 주제로 발표했는가? (한양대 교과) - 스터디그룹 활동 중 얼음물 농도 실험은 어떤 실험이었는지 설명해보라. (한양대 교과) - 중학생 멘토링 활동은 어떤 내용이었나? 그리고 느낀 점은? (한양대 교과) - 창업 동아리 활동을 하면서 느낀 점이 무엇인가? (한양대 교과) - 2학년때 한 팀플 내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해보아라. (한양대 교과) - 학교생활 중 봉사활동 부문에서 남들과 다르게 눈에 띄는 부분이 있는데 봉사 활동을 하면서 느낀 점은 무엇인가? (한양대 교과)
1. 지원동기를 말해보시오.
2. 입학 후 어떻게 공부할 것인지 학업계획을 말해보시오. 3. 자신의 장기 계획이 무엇인지 설명해보시오. 4. 10년 후 자신의 모습을 말해보시오. 5. 자신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말해보시오. 6. 혼자, 단체 작업 중 어떤 것을 선호하나요? 그 이유는 무엇인지 말해보시오. 7. 자신의 친구들은 어떤 사람인가요? 친구들에 대해 설명해주시오. 8. 만약 저녁을 먹으로 누군가 만난다면 그 사람은 누구인가? 9. 가장 존경하는 인물인 누구인지 말해보시오. 10. 가장 만나고 싶은 사람이 누구인지 말해보시오. 11. 행복이란 무엇인지 정의해보시오. 12. 구 세대와 현재 세대의 차이점은 무엇이라 생각하는지 말해보시오. 13. 자신이 생각하는 리더십의 조건은 무엇이라 생각하는지 말해보시오. 14. 한국사회에 리더가 필요한 제1의 기질이 무엇인지 말해보시오. 15. 자신이 리더로서 보일 수 있는 경험이 있다면 무엇이지 말해보시오. 16. 지역 사회에 공한 것이 있나요? 있다면 무엇인지 말해보시오. 17. 어떤 사회가 괜찮은 사회라고 생각하는지 말해보시오. 18. 자신이 했던 일 중 실패했던 경험이 무엇인지 말해보시오. 19. 학교에서 가장 크게 성취한 것이 무엇인지 말해보시오. 20. 가장 감명 깊게 읽은 책은 무엇이고 그 책에 어떤 부분 감명 깊었는지 말해보시오. 21. 책 읽는 것을 좋아하나요? 어떤 책을 좋아하는지 말해보시오. 22. 한국 문학 중 가장 감명 깊게 읽은 것이 무엇인지 말해보시오. 23. 가장 기억에 남는 봉사활동에 대해 말해보시오. 24. 여자가 군대에 입대 한다면 그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말해보시오. 25. 영문과, 영어교육과 중 왜 국제학부를 지원하였는지 말해보시오.(국제학부) 26. 최근에 읽었던 국제학 관련 책은 무엇인지 말해보시오.(국제학부) 27. 사회에 공헌한 것이 있다면 말해보시오.(국제학부) 28. 꼭 국제 무역 전문가가 되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고 팀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싶은지 구체적으로 설명해보시오.(국제학부) 29. 다른 학교 국제학부에 비해 한양대 국제학부의 부족한 점이 무엇인지 말해보시오.(국제학부) 30. 다른 학교 국제학부가 아닌 한양대 국제학부인 이유를 말해보시오.(국제학부) 31. 한국과 중국 문화의 차이점에 대해 말해보시오.(국제학부) 32. 어떻게 독일어를 공부하게 되었는지 말해보시오.(독어독문학과) 33. 수능에서 영어 절대평가로 바뀌었는데 어떻게 생각하는지 말해보시오.(영어교육과) 34. 가르치는 방법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말해보시오.(영어교육과) 35. 영어영문학과 말고 어떤 것을 공부하고 싶은지 말해보시오.(영어영문학과) 36. 영어영문학과의 약점이 무엇이라 생각하는지 말해보시오.(영어영문학과) 37. 중국 관련 책을 읽은 적이 있나요? 어떤 책인지 말해보시오.(중어중문학과) 38. 왜 중국어를 공부하는지 설명해주시오.(중어중문학과) 39. 한국 문학과 중국 문학 중 어떤 것을 좋아하는지 말해주시오.(중어중문학과) 교사들 10명 중 9명이 최순실 사태와 같은 사회적 이슈를 교실에서 가르치는 것에 찬성
"무관심"의 결과는 '심각한 제앙'을 가져온다!=>해결 방안은 "관심(김영란법 활용)이다" 소통과 배려로 '인성' 함양!
수능 만점을 받기 위한 테크닉만 훈련된 학생을 배제하려 한다(염재호 고려대 총장 “도전정신 키워야…)
앞으로 대한민국 입시의 대세는 인성을 바탕으로 하는 창의성 교육이 될 것이다!
"학생들에게 인성 교육? 미국에선 상상도 못해"<=기사원문보기클릭(저작권 관계)=>교사 90% "학생에게 정치적 견해 주입해선 안 돼""한국의 인성교육법에서 규정한 것과 같이 효도와 예절 등을 국가 차원에서 지도하도록 한다" 미국교사연맹(AFT) 상임 부대표(executive vice president)는 "엉뚱한 소리"라고 잘라 말했다. "미국에서 하는 '캐릭터' 교육은 비판적 시민의식을 키우기 위한 것이지 어떤 가치를 학생에게 주입하기 위한 한국의 인성교육과는 전혀 다르다" 인성교육의 핵심은 학생들이 비판적인 사고를 배양하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문제] 세월호 사고에서 메르츠 사고,최순실 사건에 이르기까지 '무관심' ‘불통’ 시대의 ‘소통’ '배려' 열망에 대해 말하여 보세요.
‘친구가 대학 입시 자기소개서에 허위·과장 내용을 기재해 제출한 사실을 알게 됐다. 어떻게 할 것인가’ ‘친구 5명과 인도 여행을 떠나기로 했다. 경비 마련, 역할 분담 등을 어떻게 할 것인가’
삼성전자의 신형 스마트폰 '갤럭시 노트 7' 발화 사고 "갤노트7 단종은.."
문제: 미국 대중가수 밥 딜런의 노벨상 수상에 대해 말하여 보세요.
문제: 청소년이 인터넷 게임을 과도하게 많이 하면 정신건강에 손상이 온다는 견해와 정신건강에 손상이 있는 청소년이 인터넷 게임을 과도하게 한다는 견해가 있다. 본인의견해와 토론을 진행하시오.
문제: 경기회복 위해 초저금리를 더 낮춰야 할까요
초저금리 정책이 장기화되고 있다. 전세계적인 현상이다. 일본 유럽연합(EU)같은 곳에서는 마이너스 금리, 즉 예금을 맡기면 은행이 이자를 주는 대신 일종의 보관료를 받을 정도다. 단순히 금리수준만 낮추는 게 아니라 ‘양적완화’(QE)라는, 인위적인 돈풀기 정책도 병행되고 있다. 유례가 없던 현상이다보니 ‘비전통적 통화정책’이라고도 불린다. 저금리로 경영난을 겪는 기업들과 가계를 지원하면서 소비진작,수요확대도 꾀하겠다는 것이 초저금리 정책의 노림수다. 자국의 통화 가치를 떨어뜨려 수출을 확대하자는 의도도 깔려있다. 그래서 글로벌 환율전쟁이 일어났다고도 한다. 한국도 이런 통화전쟁에서 예외지대가 아니다. 각국의 금리정책 흐름에 맞춰 금리를 계속 내려온 한국은행은 2016년 6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연 1.25%로 내렸다. 한국에선 사상 최저의 금리가 넉달째 계속되고 있다. 그런데도 경제는 쉽게 살아나지 않고 있다. 결국 정부(기획재정부)가 나서 독립적인 중앙은행(한국은행)에 대고 금리 추가인하를 압박했다. 미국, 일본, EU처럼 제로(0)금리로 더 접근해가야 하는가.
[문제] 아무도 못 믿겠다.. 'IT 시대 불신 사회' 에 대한 본인의 생각은?
의사에게 가장 필요한 자질은 무엇일까? 교사에게 가장 필요한 자질은 무엇일까? 교사(의사)와 학생(환자)의 관계 미래의 (교사)의사상
의약 분업 현재 우리나라 AIDS환자 수 우리나라 여성의 사회적 지위 성형수술 복제 인간 인공지능
안락사 자살 태아 성감별 배아 줄기세포 성체 줄기세포 저출산 살면서 자신이 저지른 가장 큰 실수는?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에 비해 의사와 병원 약국이 많은 이유
'본인이 어떤 사람인지 소개하라' 자신이 살면서 겪은 갈등 상황을 이야기하고 그것을 어떻게 해결했는지?
[문제2] 인종차별과 타자의 윤리에 대해 말해 보라.
문제: 홍성수 숙명여대 법학과 교수가 김영란법과 관련해 "교수-학생 사이에 허용되는 선물은 일체 금지하는 것이 낫다"며 "고마운 마음을 꼭 금품으로 보답하고 싶다면 졸업 후에 가져다 드려라"라고 의견을 밝혔다... 와 관련 '김영란법' 우리 사회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긍정적인면과 부정적인면을 말하고 본인은 둘 중 하나를 선택하라고 한다면 어떤면을 선택 할 것인가?
[문제] '대한민민국 자살률 세계 최상위권' 이유가 뭐라고 생각하나?
문제: 현 우리 대한민국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본인의 생각을 말하여 보라.
문제:당신이 그동안 해결한 문제가 무엇인지 예를 들어보고 과정을 설명해 보라. 왜 그렇게 생각했는지, 그 결과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말해보라.
문제: 메르스(MERS) 등 전염병 환자정보공개 찬반토론
공익을 위해 필요 vs. 심각한 부작용
환자정보공개를 찬성하는 측에서는 전염병 확산과 국민들의 불안을 줄이는데 도움되므로 공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향후 또 다른 신종 전염병 발생시에도 정보공개를 원칙으로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반대측은 사실 확인없이 과도한 환자정보를 국민들에게 공개함으로써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환자의 인권과 사생활을 침해하는 행위이므로 적절치 않으며 근본원인을 개선하는데 집중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문제: 지지부진 구조조정, 대우조선에 추가지원 해야 하나
해를 넘겨온 대우조선 구조조정이 어디까지 왔는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알수가 없다. ‘신속,정확,과감’이 준칙인 산업구조조정이 ‘지체,지리멸렬,신중’ 모드다. 국내 조선산업 구조조정 컨성팅을 담당하고 있는 맥킨지가 중간 보고서를 통해 대우조선은 자립적인 독자생존 가능성이 낮다는 결론을 낸 가운데 대우조선측은 이에 강하게 반발하는 상황이다. 자력생존을 위해 스스로 확보해야 하는 자금은 계속 불어나는 중이지만 회사의 자산매각도, 신규 수주도, 인력 감축도 지지부진이다. 대우조선의 최대 주주인 산업은행은 그동안은 어설픈 재벌 흉내를 내왔지만 정작 구조조정에서는 전문가다운 모습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정부도 제대로 추진력을 발휘하지 못한다. 이런 와중에 회사의 경영은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채권단의 추가지원이 없이는 그나마 생산 기반도 제대로 유지하기가 어려운 국면이다. 추가지원을 해야 하나. 한다면 어떤 방식이어야 할까.
삼성전자의 신형 스마트폰 '갤럭시 노트 7' 발화 사고 "갤노트7 단종은.."
-갈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순기능과 역기능을 설명하시오.
| ||||||||||||||||||||||||||||||
2017,8학년도 서강대 수시68.3% 확대 선발=>수시 합격 비급 진실된 -자기소개서 -추천서 -학교(내신포함)활동 -학교소개자료(출신학교 Profile)대학입시 성공, 이제 고교 하기에 달렸다 2016년 13가지 교육 트렌드 - 2화. "이제, 인성교육이다 ... -이젠(인성면접)시민이다! 현 고2 대입부터 면접서 인성평가 -앞으로 학생부종합전형 재외국민전형 글로벌 국제화 외국어특기자 AP,SAT,TOEIC,TOEFL 등 외부 스팩이 아닌 내부 스팩과 자기소개서 추천서 전공 적성(전공적합성,학업발전성)필답고사,에세이,면접이 합격을 좌우 할 것입니다.문학 관련 작품 읽기(한양대 의예과 합격)고교 시절 교내 도서관에서 대출한 책은 300여 권…나와 한 약속, 끈기있게 지켜나가세요<=기사원문보기클릭(저작권 관계)=> [엄경숙의 인성에서 입시까지] 수시 서류전형 분석 2 -서울대 서류전형 2016학년도 의대 입시..학교별 전형특성 공략해야 새롭게 뜨는 대입 스펙? 소논문 쓰는 고교생 는다는데…재수 때도 200여 권을 읽었다. 책 고르는 기준은 따로 없지만 EBS 문제집에 나오는 작품의 원문은 모두 찾아 읽었다. 작가 이태준(1904~?)의 '까마귀' 일부가 출제되면, '까마귀'는 물론이고 이태준 전집을 빌렸다. "연관 작품을 읽으면 작가의 문학 세계를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어요. 지문과 문제 해석력도 높아지죠. '경제학 콘서트(팀 하포드)' '강의(신영복)' 등 분야를 가리지 않았더니 비문학 파트를 푸는 힘도 길러졌어요. 결국 독서가 국어 실력에도 도움을 준 셈이죠." '교내 소논문 대회' 논문내용, 자기소개서·학생부에 유용.. 한국과학영재학교를 시작으로 과학고와 외고 등 특목고에서 확산했으며, 최근에는 일반고까지 열풍이 이어지고 있다. -출신학교 Profile-이제는 학교가 적극적으로 나서 학생들이 자신의 능력과 소질을 찾도록 환경을 제공하고, 학생들은 그 환경 속에서 자신이 어떻게 발전했는지 증명해야 한다..대학들은 고등학교 홈페이지까지 뒤져가며 좀 더 괜찮은 학생을 선발하려고 애쓴다.교육 과정 편성과 운영, 이것의 적절성, 이런 것까지도 꼼꼼하게 챙긴다는 사실..이제 모든 것은 다 드러난다, 비밀은 없다고 생각하고 홈페이지 관리를 잘해야 한다.특히 교육 과정 운영과 관련 학생들이 쌓아야 할 스펙과도 관련해서 살아있는 홈페이지로.. 대입 방향 사교육절감·인성중시…뜻 좋으나 현장은 막막 ..건국대 1박2일 면접…인성·재능·잠재력 다면평가 ..가톨릭대, 첫 도입한 체험형 인성면접 '성공적' .. 대학들, 신입생 뽑을 때 '인성평가' 강화…사례 공유 .. 서울시립대학교, 신입생 학생부종합전형에 인성평가 도입 만점자·스펙 NO ! 하버드도 삼성도 인성에 밑줄 쫙~ 기업 97.1%, '인성' 평가비중 높다<=기사원문보기클릭(저작권 관계)=>대학입시&공공기관 기업체 탈 스팩 전공적합성과 인성평가 면접 위주로 선발"토익점수·학력 빼라"진화하는 선발 SK LG 현대차 연세대 경희대 건국대 서울시립대 인하대 인성과 스펙의 평가 비중은 평균 63:27로 인성의 평가 비중이 2배 이상 높았다.
[구글 인재 채용] "학교성적? 전문성? 입사면접 대부분은 시간낭비"<=기사원문보기클릭(저작권 관계)=><2016학년도 면접 논술 에세이 예상 적중 문제: 인성교육이란? 소통! 배려!>WHO "메르스…활발한 의사소통 필요" “초기 신속히 정보 공개 안해 대응 실패” '구글의 아침은 자유가…' 책 낸 구글 인사담당 수석 부사장 라즐로 복 인터뷰
―좋은 인재는 어떤 사람인가요?
"우리도 초창기엔 출신 학교, 성적 같은 기록을 봤지만 지금은 아닙니다. 졸업 후 2~3년이 지나면 학교 성적은 직무 성과와 별 상관이 없다는 사실을 알았기 때문입니다. 최근 졸업자만 성적표를 요구합니다. 그 대신 우리는 종합 인지 능력과 문제 해결 능력, 리더십 능력을 봅니다. 어떤 문제 상황에서 리더로서 역량을 발휘하는지가 중요합니다. 또 그 사람의 '구글다움(googleyness)' 여부를 봅니다. 우리와 비슷한지, 즐길 줄 알고, 양심적인지(conscientious), 지적으로 겸손한지 등을 살핍니다. 가장 비중이 낮은 게 업무 전문성입니다. 같은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해온 사람은 구글에서도 답습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창조 여지가 별로 없다는 얘기입니다. 열린 마음으로 무엇이든 배우려는 호기심 많은 사람이 대체로 가장 정확한 답을 찾아냅니다." ―그런 자질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과거엔 시내 주유소가 얼마나 되는지 추론해 보라는 것 같은 퀴즈가 유행이었습니다. 지금은 그런 질문은 별 도움이 안 된다고 봅니다. 그 대신 따분해 보일지 모르는 기본 질문을 합니다. 당신이 그동안 해결한 문제가 무엇인지 예를 들어보고 과정을 설명해 보라고 합니다. 왜 그렇게 생각했는지, 그 결과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등을 묻습니다. 이런 인터뷰를 여러 번 반복해서 다면적 평가가 이뤄지도록 합니다."
◆외국어성적, 수상경력 기입란 삭제…스펙보다 직무역량
대입 인성평가, 어떤 질문 나왔나 2014학년도 수능 만점자가 서울대 의대에 불합격한 이유가 인·적성면접의 변별력 때문이라는 보도도 있었다. 2015학년 대입 면접에서는 인성을 평가하기 위해 어떤 질문이 나왔을까? 부산교육청 '면접후기 자료집' 제작
인제대 의예과 △기차에서 아이가 울고 있다. 엄마에게 중년 남자가 조용히 좀 해 달라고 짜증을 낸다 △실험실에 들어가려다 튀어나온 나사못에 옷이 걸려 찢어졌다 △시험시간에 이번 시험에 통과를 못하면 낙제할 수 있는 친구가 커닝하는 걸 봤다 △의대에 다니면서 등록금을 벌기 위해 아르바이트를 하는데, 이번에 좋은 성적을 받지 못하면 유급 위기다 △대학 과제 보고서를 5개 제출해야 A+를 받는데, 4개만 냈는데 A+를 받았다 △여행을 계획했는데 일행 중 한 명이 취소를 했다. 환불 비용이 추가로 들어가는데, 그 비용을 누가 처리해야 하나 등과 같은 상황도 있었다.
유니스트 경영계열 학업역량우수자전형△그룹과제에 열심히 참여하지 않은 팀원이 역량과 상관없이 점수를 받아간다고 생각한 팀 리더가 교수에게 개별 점수를 줄 것을 건의하는 메일을 보냈다 △나는 일을 열심히 해서 동기보다 급여를 많이 받는데, 회사가 어려워져서 내 급여를 낮추지 않으면 동기가 해고된다 등 제시문을 읽고 그에 대한 생각이나 선택을 묻는 방식이다.
부산대 의예과 첫 번째 방에서 자살자가 많은 다리에 어떤 자살 방지 문구를 적을지 물었다. 자살자를 줄이기 위한 다른 방법은 없는지, 눈앞에서 사람이 뛰어내리려고 한다면 어떻게 말릴지 등 추가 질문이 이어졌다. 나머지 3개 방에서는 △친구와 케이크를 가장 잘 나눠 먹는 방법 △노홍철의 음주운전에 대한 생각 △자신은 보스형인가 참모형인가 같은 즉석 질문이 나왔다. 첫 번째 방은 잠재적 역량 중 발전가능성(창의성·독창성·상상력과 현실감)을 평가하는 방이다. 나머지 방에서는 잠재적 역량 중 전공적합성(자기성장 노력·모집단위에 대한 관심과 열정), 사회적 역량 중 인성(도덕성·윤리성·긍정적 가치관)과 사회성(공동체 의식·의사소통 능력(배려심·리더십·협동심 등)을 평가한다.
고려대 △지원 분야에서 양심의 갈등이 발생하는 상황이 무엇이고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묻는 공통질문을 두었다. 지원하는 모집단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 상황을 스스로 가정해 이야기해야 하기 때문에 전공에 대한 관심과 인성을 동시에 평가할 수 있다. 필요할 때 가져가고 다시 돌려주는 '양심우산'의 회수율을 높이는 방안을 묻는 질문도 같은 전형의 공통질문이었다.
서울대의 경우 자기소개서에 쓴 기본적인 개념이나 정의에 대해 질문을 받은 학생이 여럿 있었다. △자기소개서에 '자신감'이라는 말을 썼는데, 자신감이란 뭘까? 라든가 △'국제적인 인재'가 되고 싶다고 썼는데 학생이 생각하는 국제적인 인재란? 같은 질문이 예다.
서울대는 또 학교생활기록부의 장래 희망과 지원 학과가 다른 경우, 특정 과목의 성적이 급격하게 떨어졌던 경우 관련 질문이 나오는 빈도가 잦았다. 당황하지 말고 "부모님 뜻대로 외교관을 희망했는데, 외할아버지의 치매를 지켜보고, 어머니가 큰 수술을 받으면서 아픈 사람을 보살피는 간호사가 되고 싶어 부모님을 설득했다"는 식으로 스토리가 있는 답변을 하면 좋다. | ||||||||||||||||||||||||||||||
2015학년도 서강대 면접문제 -한국을 외국 친구들에게 한국의 어떤 문화를 알리고 싶나? 미국과 한국 대중 문화의 차이점 차이를 말해 보세요
책중에 제일 인상 깊은 책 꿈 뭐냐 마지막 할말 있냐 외국에서 몇년 살앗나요 한국의 설 추석 등 명절에 대해 외국인애게 소개해봐라 좋아하는 작가나 시인이 있나? 한국의 인물중 누구를 외국 친구들에게 알리고 싶은지와 이유 외부 활동 자기소개 왜 우리과 오고싶나 서강대가 왜좋으냐
최근엔 대학입시와 기업도 스펙보다 "인성을 중시"하는 추세다.
"인성을 중시하지 않은 교육의 결과는.. 학대, 살인.. 지금 가족에게 무슨 일이<=기사원문보기클릭(저작권 관계)=>친부모가 '살인'까지… '인천·부천'서 잇따르는 아동학대 " 세월호도, 교사 폭행도..'부끄러운 어른들' '핵펀치' 보육교사 폭행 인질범 김상훈, 작은 딸 살해 전..성폭행 시도 `막말 인성의 한계인가`남양유업 사과 남양우유에 기내식 라면까지 윤창중 패러디사진 봇물… 땅콩 회항' 국제적 망신 "제가 교육을 잘못했습니다" ‘권력형 성범죄’ 빈번한 사회 강남 성형외과, 수술실 셀카 사과 "철저히 교육 못해 죄송"..신뢰도 걱정? '전국 1%' 외고생의 시험지 절도.. 돈받고 학생 '가짜스펙' 쌓아줘 대학보낸 불량 교사들 10대의 왕따 폭력 문화가 군대로 이어져'정신적 구타' '이준석 방지법' 인성교육부터“ 난 이렇게 아들의 '스펙 조작'에 가담했다 자사고 전교 1등 투신, “머리가 심장 갉아먹어” '내신 1등급' 고3, 아버지에 맞고도 "입시 거부" 왜? '신림동 비하 논쟁'신림역 근처엔 왜 이렇게 질 떨어지는 사람이 많죠?=>이런 일련의 사건 등 사람이 하나의 회사를 망칠수도 있고 가정과 사회를 망칠수도 있다는 사실이 현실로 다가와 “현재 아니 이미 2~3년전부터 대입 수시모집에서 자기소개서와 면접을 통해 인성 반영이 상당히 강화되고 있다” “인성평가 얘기 나오자마자 술렁… 사교육 또 판칠수도” 교육부 또 大入혼란 부추겨… 22일 “인성평가 반영”→ 23일 “새 제도 도입은 아니다” "바쁜데 우는 애 만나면 … " 이런 질문 던져 인성평가
| ||||||||||||||||||||||||||||||
예상2017,8학년도 서강대 알바트로스특기자 재외국민전형 학생부종합전형 수시합격점수/내신1~4등급( GPA: 3.8 , AP3개, SAT2200)지원학과의 연관성이 가미된 진실된 스토리가 가장 중요하고 지원학과의 연관성이 가미된 고교별교육프로그램 등 진실된 고교활동(연구보고서, 교내수상 및 활동경력, 발표된 창의적 아이디어 스토리)이 최우선 과제로 면접 승부 가능
<알바트로스 외국어특기자>일반1~3등급&학교 Profile자신3~5(GPA3.8)외국어활동(영어 제2외국어 내신1~2등급)우수자 자소서 면접 승부 가능/학교 Profile가장 큰 변수
School Profile&스팩이 나름 자신 있고 외국어고교활동우수자(영어 제2외국어 내신1~2등급) 면접이 자신 있다면 알바트로스 특기자로 승부 , 학교(내신포함)활동이 자신 있다면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승부하라
<알바트로스 특기자전형>지원자격은 외국어특기자는 국내/외 정규고 2015년 2월 이후 졸업한 삼수생부터 졸업예정인 재학생까지이며,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학생도 지원이 가능하다. 수학/과학은 국내 정규고 2015년 2월 이후 졸업한 삼수생부터 졸업예정인 재학생이다. Art&Technology는 국내/외 정규고 졸업자 및 졸업예정자로 별다른 재수 제한 요건이 없다. 전형방식은 1단계에서 학생부 자소서 추천서 활동보충자료 등을 고려해 모집인원의 2~5배수를 선발한 후 2단계에서 면접을 실시해 최종합격자를 결정한다. 어학특기자전형은 공인어학성적의 점수를 직접 반영하지 않지만 일부 지원자를 대상으로 면접에서 지원전공에 대한 언어구사능력을 살펴본다.
재외국민전형 서강대 사전예고 : 2016학년도 재외국민전형 정원외 2% 전형요소 변경 재외국민전형 정원외 2%의 경우 2016학년도부터 필기시험을 폐지하고 서류로 평가하여 선발할 예정임 재외국민전형 자격 요건은 요강 참조
서강대는 2012학년도 입시부터 국제화 인재를 뽑는 알바트로스 전형에서 토플 성적을 iBT기준 105점 이상이면 모두 동점 처리
특기자전형(영어) 환산점수표(그냥 참고로만 활용하고 최종 판단은 본인이 결정해야..)모 상위권대 서류평가 시 3등급 반영
등 급 TOEFL TOEIC TEPS
상 100 이상 860 이상 770 이상 중 80~99 720~860 600~769 하 79 이하 720 이하 599 이하
고로 앞으로 신어학특기자 글로벌 국제화전형의 경우 "영어 성적은 지원기준으로 생각하고 지원하라" 현 학교활동(내신포함)이 좀 부족해도 최대한 학교활동에 치중하는게 바람직..영어공인시험 IBT 토플에서 120점 만점을 받고자 1,2 점을 위해 시간을 할애하기 보다는 그 시간에 다른 요소을 갖추는데 시간을 투자하십시오. 공식적으로는 외국어 점수 1,2점 차이로 학생의 당락을 가르지 않습니다.
입학사정관들은 학생부 기재 사항 중심으로 학생들을 평가합니다. 비교과 영역도 학생부 내용이 중요합니다.
그러므로 학생부 기재 사항을 그대로 반복하는 자기소개서와 추천서는 절대로 작성하지 마세요. 자기소개서와 추천서는 학생부에 없는 내용이나 학생부 내용을 추가, 보완하는 자료로 활용하십시오. | ||||||||||||||||||||||||||||||
학교(내신포함)활동이 좋다면 수시 학생부종합전형을, 논술 실력이 뛰어나다면 수시 논술전형 내신1.3~3.5등급에 비교과영역1~3개 지원학과의 연관성이 가미된 진실된 스토리가 가장 중요하고 지원학과의 연관성이 가미된 고교별교육프로그램 등 진실된 고교활동(연구보고서, 교내수상 및 활동경력, 발표된 창의적 아이디어 스토리)이 최우선 과제로 논술로 뒤집기가 가능... 논술의 영향력이 절대적이란 얘기다.....-‘논술 영향력이 절대적’이라는 의미는... “내신으로 줄을 세운 뒤 논술 능력을 평가하기 보다 논술이 당락을 가른다. 내신 2~3등급대 합격생이 많지만, 지난해의 경우 일반계고 출신을 기준으로 합격생의 10~15% 정도가 내신 3~4등급이었다.”..-학교생활우수자 전형 선발방식의 변화는.“교과성적 0.1~0.2점보다는 3년 동안 학생이 어떻게 생활했는지와 학업 외적 능력을 두루 보겠다는 의미다.”-합격생들의 내신성적 수준은..“인문계 1.7등급, 자연계 1.9등급. 활동내역이 뛰어날 경우 내신등급을 극복할 수 있도록 다방면에서 평가.”
<학생부종합전형>
학생부종합전형은 자기주도형 315명, 일반형 286명 등 601명을 선발한다. 올해 2016학년 자기주도형 297명, 일반형 280명 등 577명보다 24명 증가한다.
2017 입시에서는 학생부종합 자기주도형이 18명 늘어 전체 전형 가운데 선발인원 증가폭이 가장 크다. 2013년 2월 이후 졸업자인 5수생부터 졸업예정자인 재학생까지 지원이 가능하다. 국외 정규고 출신은 2012년 3월 이후 졸업자인 6수생까지 지원할 수 있다.
수능최저를 적용하지 않으며, 별도의 대학별고사 없이 학생부, 자소서, 추천서, 활동보충자료를 정성평가해 합격자를 결정한다. 활동보충자료는 최대 3가지 내용 3페이지 이내 분량으로, 올해 2016 수시 4가지 내용 4페이지 이내보다 줄었다.
6명이 늘어나는 학생부종합 일반형은 수능최저를 적용하기 때문에 2017 수능응시자라는 요건이 붙는다. 응시요건을 제외하면 국내 정규고 2013년 2월 졸업자인 5수생부터 졸업예정자인 재학생까지 지원할 수 있도록 자격이 설정됐다.
활동보충자료를 요구하지 않고 학생부, 자소서, 추천서로 정성평가를 실시한 후 수능최저를 적용해 합격자를 결정한다. 수능최저는 인문사회계열은 국어 수학 영어 사탐/과탐 중 3개영역 2등급 이내면서 한국사 4등급 이내, 자연계열은 국어 수학가 영어 과탐 중 수학가 또는 과탐 포함 2개영역 2등급 이내면서 한국사 4등급 이내다. 탐구는 2과목 평균을 반영하며, 인문사회계열은 제2외국어/한문/한국사를 탐구 한 과목으로 대체할 수 있다. 올해 2016에서 탐구를 상위 1과목 반영하지만 내년 2017은 지난해 2015와 동일하게 2과목 평균을 반영한다.
서강대 학생부종합전형은 수험생의 편의를 고려한 일정으로 명성이 높다. 2017학년 일정은 전형계획상 적시돼 있지 않지만 올해 2016학년의 경우 수능최저를 적용하지 않는 자기주도형은 수능 다음날인 11월13일 오후5시에 합격자를 발표한다. 일반형은 원서접수는 9월에 마치지만 자소서, 추천서 등의 서류 입력은 수능 이후인 11월13일부터다. 가채점 결과 수능성적이 생각보다 좋은 경우 서류입력을 하지 않고 정시전형에 지원할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이다.
제출서류는 모두 대교협 공통양식을 활용한다. 2017학년 자소서 문항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올해 2016 자소서 문항은 지난해와 대교협 공통문항은 동일하고 4번 자율문항이 변경됐다. 올해 지원전공을 선택한 이유와 대학 입학 후 학업 또는 진로계획에 대해 1000자 이내로 서술하는 문항이 출제된다. 지난해에는 지원자의 환경(가정 학교 지역 국가)적 특성이 지원자의 삶에 미친 영향, 최근 3년간 지원자의 개인적 관심 또는 역량계발에 대한 경험적 사례, 기타 자유주제 등 3가지 주제 중 1개를 선택해 1000자 이내로 작성하는 문항이 나왔다.
특이점은 본인의 가능성을 잘 나타낼 수 있는 활동보충자료를 선택해 제출할 수 있다는 것. 서류 5장 이내에 고교생활 중 학업을 비롯해 다양한 활동을 보다 심층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 활동보충자료는 학생부에 기재된 내용 중 지원자가 강조하고 싶은 부분을 자세히 기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또 학생부에는 없는 부분 중 고교 생활 동안 활동했던 분야, 개인적 특성 등을 대학에 어필할 수 있는 자료도 된다. [학생부종합전형 필승전략]서강대, 자소서에 본인 장점 기재할 수 있어…<=기사원문보기클릭(저작권 관계)=>[나의 대학 합격기]5→4→3 내신점수 상승 비법은 '담담한 마인드컨트롤'자소서에 성적 올린 얘기는 덜어내고 내 꿈과 가치관에 대해 진솔하게 담아"
김 입학처장은 “지원하는 학생이 전공과 본인의 특성을 반드시 연결하는 활동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다”며 “대학에서는 이름만 거창한 활동을 요구하지 않는다”고 조언했다. 김 입학처장은 “오히려 입학 후 학문을 습득해 나갈 수 있는 가능성과 기본 역량을 보여주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운은 준비된 자에 ‘따르는’것.. 혹독하게 갖춰주겠다” 교과전형에서 문과 3등급, 이과 3.5등급까지 만점을 부여..내신이 괜찮으면서 수능에 신경을 쓸 수 있는 학생들은 교과전형을 생각해볼 수 있다. 종합전형에서 수능최저를 적용하지 않는 것에 대해 내부에서 얘기들도 많았지만, 전형을 설계하면서 정말로 학생들에게 필요한 게 뭔지 생각해보자, 그리고 정말 우리가 모든 것을 잘하는 학생들만을 받아들여야 하는 건지 재고해보자고 방향이 나왔다.
<논술전형>
논술전형은 올해 2016학년 385명에서 21명 줄어든 364명을 선발한다. 2017 선발전형 가운데 인원감축폭이 가장 크다. 논술정원을 줄이면서 화학과 생명과학 모집단위를 논술로 선발하지 않게 된 점이 특징이다. 유럽문화전공, 중국문화전공, 국제한국학계, 아트앤테크놀로지는 올해와 동일하게 논술에서 선발하지 않는다.
전형요소 반영비율은 올해 2016학년 논술전형과 동일하다. 논술60%(600점)+학생부교과20%(200점)+학생부비교과20%(200점)를 반영하고 수능최저를 적용한다. 수능최저는 학생부종합 일반형과 동일한 수준이다.
논술고사는 인문사회계열은 인문/사회과학 관련 분야 제시문과 논제제시, 자연계열은 수리 관련 제시문과 논제제시로만 나와 있다. 문항수나 답안 분량, 응시시간에 대한 언급은 없다.
학생부반영도 인문사회계열은 국어 수학 영어 사회 교과, 자연계열은 국어 수학 영어 과학 교과 관련 과목을 반영하며, 비교과는 출결과 봉사활동을 100점씩 반영한다고만 적시돼 있다. 세부적인 반영내용에 대한 내용은 없다.
올해 2016학년의 경우 논술은 지난해와 동일하게 100분간 실시된다. 인문/사회계열은 인문/사회과학관련 제시문과 논제를, 자연계열은 수리관련 제시문과 논제를 2문항 출제한다. 문제1은 40%, 문제2는 60% 비중으로 성적을 반영한다. 인문/사회계열은 900자±100자 분량의 답안을 작성해야 하며, 자연계열은 분량제한이 없다.
2016 논술전형의 학생부 반영은 논술에서 변별력이 날 수 밖에 없는 구조다. 학생부교과 등급이 8.75초과 9점이하인 경우, 무단 결석 15일 이상, 봉사활동 5시간 미만인 경우 0점을 받아 요강에 명시된 반영비율과 실질반영비율이 동일하다. 다만 내신 8.75등급까지 192점으로 만점 200점과 큰 차이가 없다. 결석의 경우 1~3일까지 100점이지만 10~15일까지 결석하는 경우 90점으로 점수차가 크지 않다. 봉사점수도 20시간 이상이면 100점, 5시간 이상 10시간 미만인 경우 90점으로 점수차가 큰 편이 아니다.
서강대 논술<=기사원문보기클릭(저작권 관계)비교과영역의 경우 출결과 봉사활동만 반영하고, 최소기준만 충족하면 만점처리하기 때문에 큰 변별력은 없다. 일반선발의 경우에도 논술이 주효하다. 전형요소별 배점은 학생부교과20%,비교과20%, 논술60%로 표면적으로 학생부와 논술의 비중이 동일하지만 논술의 실질반영비율이 높기 때문이다. 학생부 교과성적이 다소 처지더라도 논술성적으로 충분히 뒤집을 수 있다.다만 합격생의 논술 수준은 높다. 10점 만점을 기준으로 인문계열 합격생들의 논술점수를 집계하면 우선선발은 6.0점, 일반선발은 7.4점 이상에 위치한다. 한 문제라도 0점을 받을 시 과락 처리된다는 점은 올해에도 명심해야 한다.특별히 올해에는 통계자료를 제시하고 해석하는 능력을 묻는 문제가 출제될 수 있다. 우찬제 교수는 “현대인들은 정보가 넘쳐나는 시대에 살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자료를 선별하고, 분석하는 능력은 필수”라며 “특히 사회과학계열에 지원하는 학생들은 표와 그림 등을 분석하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서강대 자연계열 논술은 수학논술만 보는 것으로 이미 유명하다. 10여 년 간 수학과목만을 고집하고 있다. 과학을 출제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서강대 자연계열 논술출제위원장 이재성 교수는 “선택과목의 문제는 형평성과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에 일부 학생에게만 편의를 제공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정시 가군 일반전형>
정시가군 일반전형은 2016학년 459명에서 2017학년 450명으로 9명 줄어들 전망이다. 수시 이월인원을 반영하면 실제 선발인원은 더 줄어들거나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응시지정영역은 인문사회계열은 국어 수학나 영어 사탐/과탐이며, 자연계열은 국어 수학가 영어 과탐이다. 탐구는 2과목 평균을 반영하며, 인문사회계열은 제2외국어/한문/한국사를 탐구영역 중 1과목으로 대체 가능하다.
2016전형계획과 동일하게 수능90%와 학생부 비교과10%를 반영한다. 비교과는 출결성적과 봉사활동이다. 수능으로 학력을 검증하고 비교과 출결과 봉사활동을 통해 성실성을 조금이나마 반영하고자 하는 취지로 보인다.
수능영역별 반영비율은 인문계, 영미문화계, 유럽문화전공, 중국문화전공, 사회과학부, 커뮤니케이션학부, 경제학부, 경영학부 등 인문사회계열은 국어 25%+수학나 32.5%+영어32.5%+사/과탐 10%를 반영해 학생들을 선발한다. 자연계열은 국어 20%+수학가 35%+영어 30%+과탐 15%다. 올해 2016학년과 동일한 비율이다.
올해 필수로 처음 도입되는 한국사는 10점만점제 가산점으로 반영한다. 인문사회계열은 1~3등급까지, 자연계열은 1~4등급까지 10점 만점을 받는다. 인문사회계열은 4등급 9.6점부터 9등급 7.6점까지 등급간 소수점차가 0.4점 차이난다. 자연계열도 5등급 9.6점부터 9등급 8.0점까지 등급간 점수차가 0.4점이 난다.
| ||||||||||||||||||||||||||||||
수시 고른기회 대상자(통합)농어촌특별전형 내신1.3~3.5등급에 비교과영역1~3개 지원학과의 연관성이 가미된 진실된 스토리가 가장 중요하고 지원학과의 연관성이 가미된 고교별교육프로그램 등 진실된 고교활동(연구보고서, 교내수상 및 활동경력, 발표된 창의적 아이디어 스토리)이 최우선 과제
수시 고른기회 대상자(통합)농어촌학생 서류평가100%(1,00점)학교생활기록부, 자기소개서
고른기회 대상자(통합)농어촌학생 :「지방자치법」제3조에 따른 읍·면 지역 및「도서·벽지 교육진흥법시행규칙」제2조에 따른 도서·벽지 지역에 소재하는 국내 정규 고등학교 졸업(예정)자로서 아래 농·어촌학생 자격 기준 중 하나에 해당하며 고등학교장으로부터 실거주를 확인받은 자 -농·어촌학생 자격 기준- (1) 중·고등학교 6년 전(全) 교육과정을 읍·면 이하의 농·어촌(도서·벽지) 지역에 소재하는 학교에서 이수한 졸업(예정)자로 중·고 전(全)재학 기간 동안 지원자와 부모가 모두 읍·면 이하의 지역에 거주한 자 (2) 초·중·고등학교 12년 전(全) 교육과정을 읍·면 이하의 농·어촌 지역에 소재하는 학교에서 이수한 졸업(예정)자로 이 기간 동안 읍·면 이하의 지역에 거주한 자 ※ 고교졸업 시까지 반드시 농·어촌지역에 거주하여야 하며, 입학 후 이를 증빙할 수 있는 서류 제출요구 시 응하여야 함 ※ 중, 고등학교 입학 이후 재학 중 행정구역이 읍·면에서 동으로 개편된 경우는 지원 가능함 ※ 고등학교 졸업학력 인정 검정고시 합격자와 특수목적고등학교(과학고, 외국어고, 국제고, 예술고, 체육고, 마이스터고 등) 졸업(예정)자는 제외함
정시 농어촌특별전형 내신1~5등급에 비교과영역1~3개 수능(인문)평균2.7등급 이상, (자연)2.9등급 이상
1. 인문사회계열 : 국어 수학 영어 사탐/과탐 중 2개 영역 이상 각 2등급 이내 ※ 제2외국어/한문은 사회/과학탐구 영역의 한 과목으로 포함 ※ 탐구 영역은 2과목을 응시해야 하며 등급 산정은 2과목 평균으로 반영 2.자연계열 : 국어 수학가 영어 과탐 중 수학가 또는 과탐 포함 각 3등급 이내 ※ 단, 수학, 과학탐구 중 1개 이상은 반드시 3등급 이내이어야 함 ※ 탐구 영역은 2과목을 응시해야 하며 등급 산정은 2과목 평균으로 반영
<정원내 고른기회전형>
‘대입전형 간소화 및 대입제도 발전방안’에서 정원내에서 고른기회전형을 확대를 권장한 것을 반영해 내년 2017학년 입시에서 올해 2016학년 대비 사회통합전형이 6명(15명→21명), 고른기회전형이 3명(28명→31명)이 늘어난다.
지원자격은 올해 2016학년과 동일하다. 고른기회전형과 사회통합전형 모두 국내 정규고 2013년 2월 이후 졸업한 5수생부터 졸업예정인 재학생까지의 학생과 법령에 의해 이와 동등 학력을 인정받은 학생이 공통 요건이다. 사회통합전형은 수능최저를 적용하기 때문에 2017 수능응시라는 요건이 추가된다.
고른기회전형은 국가보훈대상자, 농어촌학생, 기회균형선발 등 지원자격이 세 가지로 나뉜다. 지난해 독립유공자의 자녀 및 손자녀와 국가유공자, 6.18자유상이자, 고엽제후유의증환자, 5.18민주유공자, 특수임무유공자, 보훈보상대상자와 그 자녀 등 국가보훈대상자가 지원할 수 있다. 농어촌학생,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까지 지원할 수 있다. 농어촌학생은 중고등학교 6년 전 과정을 농어촌 지역에 소재하는 학교에서 이수했으면서 지원자와 부모가 농어촌 지역에 거주했거나 초/중/고 12년 과정을 농어촌 지역에 소재한 학교에서 모두 이수했으면서 지원자가 해당 지역에 거주한 경우 지원할 수 있다. 농어촌 소재 과고/외고/국제고/예고/체고/마이스터고 지원자는 지원이 불가했다. 사회통합전형은 다문화가정자녀와 군인자녀로 지난해와 동일하다.
전형방식은 고른기회전형의 경우 수능최저를 적용하지 않는 학생부종합 자기주도형과 동일하며, 사회통합전형은 수능최저를 적용하는 학생부종합 일반형과 동일하다.
| ||||||||||||||||||||||||||||||
정시 전문계고교출신자특별전형 내신1~5등급에 비교과영역1~3개 수능(인문)평균2.7등급 이상, (자연)2.9등급 이상
1. 인문사회계열 : 국어 수학 영어, 직업/사회/과학탐구 중 2개 영역 이상 각 2등급 이내 ※ 제2외국어/한문은 직업/사회/과학탐구 영역의 한 과목으로 포함 ※ 탐구 영역은 2과목을 응시해야 하며 등급 산정은 2과목 평균으로 반영 2.자연계열 : 국어 수학가 영어, 직업/과학탐구 중 2개 영역 이상 각 3등급 이내 ※ 단, 수학, 과학탐구 중 1개 이상은 반드시 3등급 이내이어야 함 ※ 탐구 영역은 2과목을 응시해야 하며 등급 산정은 2과목 평균으로 반영
| ||||||||||||||||||||||||||||||
수시 대응력 높인 일반고 약진하다<=기사원문보기클릭(저작권 관계)=>2015 서울대 판도"특목/자사고 급감"..일선 고교 반발[수시 일반전형 1단계 합격자의 서울과고68 경기과고67 외대부고64 대원61 하나61 톱5 20~30명 수준으로 크게 줄어}일반고 약진'으로 드러나면서 일선 고교들은 일반고 살리기 위한 인위적 조정이 아니냐며 크게 반발.. "학생부 종합 전형은 특목고·자사고 학생들을 위한 전형"정말 그럴까요?학부모들 사이에도 이런 '카더라 통신' 일반고는 학생부 종합 전형에서 불리할까요?
연대 하스떨어짐...[출처]챔프스터디 |작성자ㅇㅇ 2014.11.18 에세티 2310 GPA 3.8 IB 38 인데 나보다 SAT 낮은애는 붙고 난 떨어짐 면접도 평타는 친거 같았는데 미치겠네..도대체 뭘 보고 뽑은거지...이번에ud기준이뭐에요? 메이져 외고 2등급 붙고 스펙 화려한 3, 4등급대 우수수...다 떨어졌음...예비도 없이.. 작년에 외고 실적이 정말 좋았었는데... 올해는 정말 흉흉하네요.. 영어내신으로만 뽑아놔서 대학들이덜쳐주는거 아닐까요? 면접 비중이 생각보다 높았던 것 같아요. 스펙 내신 괜찮은데 안 되신 분도 많고 좀 부족 해도 되신 분도 많은 것 같아요. 저도 안정 지원이라 생각하고 ud 지원 햇는데 예비도 없이 탈락 햇네요.,,수도권 일반고 내신 1.5인데 예비.. 연대 경대 외대 합격 작성자ㅇㅇ 사실 저는 삿도없고 에피도 없는 찌질이입니다.. 여름에 올때만해도 인서울은 들어갈 수 있을지 걱정했습니다. 하지만 입시를 경험한 후 느낀게 있습니다. 물론 고스펙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본인 상황에 맞는 전형을 찾고 자소서를 신경쓰는게 얼마나 중요한지 또 한번 느낍니다. 사람들이 누군 자기보다 삿 점수 낮은데 붙엇다 라는 말을 많이 하시던게 결코 수시는 점수로만 뽑는 전형이 아니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정성평가라는 의미가 과연 이 학생이 진심으로 과에 대한 관심이 있는지, 그리고 적합한지 보여주는거 같습니다. 내년 입시 준비하는 분들스펙쌓기도 중요하지만 본인의 개성과 색깔을 잘 표현하는 자소서와 스펙이 중요하다는 것을 명심하시길 바랍니다... 한국대학 준비하는 해외고들 보세요 작성자:해외2014.12.25 솔직히 말하자면 한국대학은 스펙이 좋다 나쁘다에 따라 "넌 다 붙는다. 넌 중경외시도 못간다" 라고 말할 수 없어요. 제 친구 삿트 2200+, 토플 고득점, 내신, 등등 흔히 말하는 "괴물스펙" 가지고 한양대 1차 떨어지고 고대 1차 연대 1차 붙고, 최종적으로 서성한 중에 한개만 합격하고 나머지 2차에서 떨어졌어요. 그에 비해 다른 제 친구는 삿트 에이피 없고 토플도 높은 점수 아니고 내신도 높지않고 활동도 많이없었는데 이번에 연대 하스 갔고 한양대 이대 최초합했습니다. 저역시 괴물 스펙은 아니지만 이번에 연대 이대 붙었습니다. 삿트도 없었고 연대 원서에는 아예 토플 에이피도 안 넣었습니다. 물론 아무런 스펙이 없는 학생과 괴물 스펙인 학생을 나란히 두면 괴물 스펙 학생이 1차를 뚫을 확률이 더 높겠죠. 하지만 그렇다고 모든 괴물스펙 들만 1차가 100% 뚫린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그리고 많은 학교들은 2차 면접, 에세이 등에서 학생들을 스펙만 보고 따지지 않으니 당연히 많은 괴물 스펙들도 여기서 떨어집니다. 아무튼, 2016학년도 후배들에게 해주고 싶은말은, 자신의 스펙으로 붙을까 안 붙을까를 걱정할 시간에 차라리 자신이 가고싶은 과/학교, 그 이유, 적합성 등을 찾아서 정리하세요. 그러면 자소서도 더 조리있게 쓸 수 있고 더 그 학교에 대한 애정이 생길겁니다. 그리고 서연고 서성한 이라는 주문은 그만 외워요.. 자기가 가고싶은 학교 학과를 목적으로 해야지 그저 학벌만 따져서 서연고 서성한을 바라보면 나중에 후회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서연고 간다고 인생 피는 것도 아니고 다 가서 하기 나름이에요). 물론 가고싶은 학과가 저 학교들 중 있다면 당연히 열심히 준비하세요!ㅎㅎ 후배들 화이팅!! -사랑하는 선배가-
2015학년도 고려대 경희대 수시합격 후기
윤모군 (2014-11-05 01:11:28, Hit : 53, Vote : 3)
해외고출신, 2015학년도 고려대학교 경희대 수시모집 최초발표에서 최종합격!
특히 올해가 영어로 대학가는게 너무 어려웠다는 수시,
남들이 말하던 SAT/토익/토플 만점, GPA 4.0, 등등 그런거 없이
저는 진심으로 하고 싶은 일과 학과에, 자소서와 면접에서 자신의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었습니다
그리고 발표당일, '합격'이라는 글자가 보였을 때 느낌은 4년동안 미국에서 혼자 너무나도 외로운 생활을 하며 마음고생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던 학생들만이 알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구지 미국이 아니어도)
말할 수 없었던 고민들을 혼자서 짊어지고 온갖 실패와 후회와 실망을 거쳐가도
언제 울었냐는 듯 끊임없이 다시 일어설 수 있었던 가장 큰 힘은
이런 저를 변함없이 너무 사랑해주셨고 일으켜주셨던 제 가족이었습니다
과거의 저를 용서하고 미래를 두려워않고 살아 숨쉬고 있는 바로 지금, 1분1초를 무엇보다도 소중한 저 자신을 위해 쓰려고 노력하였기에 여기까지 올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올해는 제 인생에서 가장 힘들었지만 이와 같은 시련이 또 한번 왔을 때 무난히 견더낼 수 있는 멋진 모습을 갖추기 위해서라면 가장 중요한 시기였던 것 같습니다
이제는 멋있는 청년이 되어 더 큰 세계로 나가 좋아하는 일을 하며 행복한 사람이 될려고 합니다,
입시라는 긴 여정을 같이 해준 모든분께 감사드리고, 또 감사드립니다
| ||||||||||||||||||||||||||||||
수능최저학력기준은 적용하지 않고 1단계 서류평가와 2단계 면접평가를 실시한 뒤 1단계 점수 80%와 2단계 점수 20%를 합산해 최종합격자를 선발한다. 김영수 입학처장은 “종합적인 평가를 통해 지원자의 가능성을 판단할 것
”1단계(서류평가)는 학교생활기록부, 자기소개서, 교사추천서, 활동보충자료를 토대로 평가가 진행된다. 평가 분야는 학업우수성, 학문적 발전 가능성, 학업 외 발전 가능성, 개인의 차별적 특성 등이다. 학업우수성은 단순히 점수를 수치에 의존하지 않고 심층적으로 해석해 평가할 예정이다. 김 입학처장은 “각종 비교과활동, 특기, 체험활동, 수상경력을 통해 지원자의 발전 가능성을 평가할 것”
특이점은 본인의 가능성을 잘 나타낼 수 있는 활동보충자료를 선택해 제출할 수 있다는 것. 서류 5장 이내에 고교생활 중 학업을 비롯해 다양한 활동을 보다 심층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 활동보충자료는 학생부에 기재된 내용 중 지원자가 강조하고 싶은 부분을 자세히 기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또 학생부에는 없는 부분 중 고교 생활 동안 활동했던 분야, 개인적 특성 등을 대학에 어필할 수 있는 자료도 된다.
2단계(면접평가)는 별도 문제를 제출하지 않고 1단계 서류를 토대로 이뤄진다. 서류에 기재된 지원자의 고교활동, 경험, 노력, 성장 등에 관한 질문이 제기될 예정이다.
김 입학처장은 “지원하는 학생이 전공과 본인의 특성을 반드시 연결하는 활동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다”며 “대학에서는 이름만 거창한 활동을 요구하지 않는다”고 조언했다. 김 입학처장은 “오히려 입학 후 학문을 습득해 나갈 수 있는 가능성과 기본 역량을 보여주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2015학년도 서강대 면접 문제
한국을 외국 친구들에게 한국의 어떤 문화를 알리고 싶나?
미국과 한국 대중 문화의 차이점 차이를 말해 보세요
책중에 제일 인상 깊은 책
꿈 뭐냐
마지막 할말 있냐
외국에서 몇년 살앗나요
한국의 설 추석 등 명절에 대해 외국인애게 소개해봐라
좋아하는 작가나 시인이 있나?
한국의 인물중 누구를 외국 친구들에게 알리고 싶은지와 이유
외부 활동
자기소개 왜 우리과 오고싶나 서강대가 왜좋으냐
정 (2012-10-29 20:06:00, Hit : 31, Vote : 0)
서강대 한양대 합격 토플 112 내신3.63 HSK6 건국대 동국대는 탈락 배짱소신지원한 대학은 붙고 참 피말리는 시간과 혈투 이곳의 정보 소중히 간직하겠습니다
연정 (2012-11-01 00:57:35, Hit : 19, Vote : 0)
연세대 서강대 이대 합격 토플113 hsk6급 내신2.43
학급활동 많고 외국어 동아리 외부수상5개
봉사87시간 9월모의평가 언2 수2 외1 사탐2 1 1
연글리 (2011-11-04 12:57:14, Hit : 121, Vote : 6)
연세대 서강대합격 토플112 hsk6급 일반고내신2 외부수상3개 내부수상5개 반장1번 성대와 외대는 탈락 6월모의고사성적은 언1수2외1사탐2 1 1 2 연세대로 결정했습니다 수능은 필요없는데 그래도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한다는 각오로 함 보고 올려고 합니다 감사합니다
정 (2012-10-29 20:06:00, Hit : 31, Vote : 0)
서강대 한양대 합격 토플 112 내신3.63 HSK6 건국대 동국대는 탈락 배짱소신지원한 대학은 붙고 참 피말리는 시간과 혈투 이곳의 정보 소중히 간직하겠습니다
서강대 2012 알바트로스인재 에세이 기출문제
[문항 1] (40% 배점)
After reading the passage below, define the concept of a “Renaissance man” and discuss why there are arguably no more true Renaissance men in the world. Be sure to support your argument with specific example(s). Herbert Simon, the winner of the 1978 Nobel Prize in economics, was arguably the last “Renaissance man” on earth. He started out as a political scientist and moved on to the study of public administration, writing the classic book in the field, Administrative Behavior. Throwing in a couple of papers in physics along the way, he moved into the study of organizational behavior, business administration, economics, cognitive psycholog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23 Things They Don’t Tell You about Capitalism by Ha-Joon Chang [문항 2] (60% 배점) Read the following passages, and discuss the potential problems that might occur between people who communicate through high-context messages and those who communicate through low-context messages. Passage 1 A high-context (HC) communication is one in which most of the information is either in the physical or in the situational context, while very little is in the coded, explicit, transmitted part of the language. A low-context (LC) communication is just the opposite; i.e., the mass of the information is vested in the explicitly encoded language. Beyond Culture by Edward T. Hall Passage 2 Westerners teach their children to communicate their ideas clearly and to adopt a “transmitter” orientation; that is, the speaker is responsible for uttering sentences that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e hearer?and understood, in fact, more or less independently of the context. It’s the speaker’s fault if there is a miscommunication. Asians, in contrast, teach their children a “receiver” orientation, meaning that it is the hearer’s responsibility to understand what is being said. If a child’s loud singing annoys an American parent, the parent would be likely just to tell the kid to pipe down. No ambiguity there. The Asian parent would be more likely to say, “How well you sing a song.” At first the child might feel pleased, but it would likely dawn on the child that something else might have been meant, and the child would try being quieter or not singing at all. Living Together Versus Going It Alone by Richard E. Nisbett Passage 3 “Tell me about yourself” seems a straightforward enough question to ask of someone, but the kind of answer you get very much depends on what society you ask it in. North Americans will tell you about their personality traits, role categories and activities. Americans don’t condition their self-descriptions much on context. Chinese, Japanese, and Koreans, on the other hand, very much depend on context. A study asking Japanese and Americans to describe themselves either in particular contexts or without specifying a particular kind of situation showed that Japanese found it very difficult to describe themselves without specifying a particular kind of situation?for example, at work, at home, or with friends. Americans, in contrast, tended to be stumped when the investigator specified a context?“I am what I am.” When describing themselves, Asians make reference to social roles (“I am Tomoko’s friend”) to a much greater extent than Americans do. Living Together Versus Going It Alone by Richard E. Nisbett | ||||||||||||||||||||||||||||||
서강대 2012 입시, 토플 105점 넘기면 모두 동점 처리
서강대는 2012학년도 입시부터 국제화 인재를 뽑는 알바트로스 전형에서 토플 성적을 iBT기준 105점 이상이면 모두 동점 처리하기로 했다고 5일 밝혔다.
이 대학은 알바트로스 전형에서 토플 만점(iBT 120점)에 육박하는 지원자가 탈락할 정도로 경쟁이 심해져 많은 비용이 드는 시험을 계속 치르는 폐해를 막고자 이런 결정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한편 서강대는 전인적 교육을 장려하고자 2013학년도부터는 학생부 비교과 영역에서 교내 예체능 활동 실적을 평가할 방침이다.
서강대 관계자는 "그동안 국제화 전형 지원자 중 1년동안 IBT를 수십차례 응시한 학생들도 있었다. 대학에서 영어점수를 1점 단위로 평가하다보니 학생들이 공인 영어시험에만 매달리게 되는 것"이라고 변경 사유를 설명했다.
이어 "막상 IBT 점수가 우수한 학생들 중에서도 심층면접에서는 기대 이하의 답변을 하는 학생들이 많았다. 학교에서 바라는 인재상과 거리가 멀다"며 "이는 영어 사교육시장 과열로도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부작용을 막고 제대로 영어를 공부한 학생을 뽑기 위해 적용 방식을 변경했다"고 덧붙였다. | ||||||||||||||||||||||||||||||
<2017학년도 서강대 입시전형 계획 정리>
1. 주요사항 - 기본적으로 2016학년도 입학 전형의 틀을 그대로 가져갑니다. 다만, 전형별 모집 인원 조정, 일부 전형(학생부 종합전형 일반형의 인문사회/인문자연)의 수능최저학력기준이 완화되었습니다. 1) 모집인원 변화 논술전형과 정시의 모집인원이 감소되었습니다. 반면에 학생부종학전형의 모집인원은 확대되었습니다. ① 논술전형 : 385명 -> 364명(21명 감축) 정시 : 459명 -> 450명(9명 감축) ② 학생부 종합전형 - 학생부 종합전형(일반형) : 280명 ->286명(6명 증원) - 학생부 종합전형(자기주도형) : 297명 ->315명(18명 증원) 2) 수능최저학력기준 완화 ① 학생부 종합전형(일반형) - 인문 사회 인문사회/ 인문자연 만 3개 영역 합 4등급 이내(2016학년도) -> 국어, 수학, 영어, 사회/과학탐구 중 3개영역 각 2등급 이내이고 한국사 4등급 이내(2017학 년도) ② 탐구영역 : 2개영역 중 상위 1개 영역만 반영 탐구영역(사회탐구 혹은 과학탐구)은 2과목의 평균을 반영하며, 인문사회계열의 경우 제2외국어/한문/ 한국사를 탐구영역(사회탐구 혹은 과학탐구)의 한 과목으로 대체하여 선택 반영 가능함 2. 전형별 특징 1) 논술전형 - 논술 60%+학생부(교과)20% + 학생부(비교과) 20% 학생부(비교과) : 출결과 봉사활동만 적용 - 학년별 교과반영비율 : 동일(2016학년도 기준으로 등급간 점수 차 : 0.6점) - 수능 최저학력기준 적용 2) 학생부 종합전형 - 일반형 - 수능 최저학력기준 적용 - 서류(100%): 학생부, 자기소개서, 교사추천서 등 종합평가 3) 학생부 종합전형 - 자기주도형 - 수능최저학력기준 적용하지 않음 - 서류(100%): 학생부, 자기소개서, 교사추천서, 활동보충자료 등 종합평가 - 활동보충자료는 최대 3가지내용까지 가능하며, A4크기 3페이지 이내로 제출 4) 알바트로스 특기자전형 - 수능 최저학력 기준 적용하지 않음(1단계 2~5배수 선발, 2단계 면접시행) - 자기소개서, 학생부, 교사추천서, 활동보충자료 - 활동보충자료는 최대 5가지내용까지 가능하며, A4크기 5페이지 이내로 제출 5)정시(가군) - 학생부 교과 반영 하지 않음 : 수능(90%), 학생부비교과(10%) - 학생부 비교과 : 출결(5%), 봉사활동(5%) - 한국사 등급별 가산점 인문사회 : 3등급까지 만점 자연계 : 4등급까지 만점 | ||||||||||||||||||||||||||||||
아래 사항은 2014,15학년도 입시정보입니다.
전형방법의 간소화 눈길
전형의 간소화는 수능최저학력기준(수능최저) 적용 내용도 간소화시켰다. 지난해 논술전형, 서류전형, 알바트로스특기자 인문/사회 국내고 출신, 학교생활우수자전형, 가톨릭지도자추천전형, 기회균형선발(정원외)에 수능최저를 적용하고 알바트로스특기자 인문/사회 해외고 출신, 알바트로스특기자 자연계열, 알바트로스특기자 Art&Technology, 자기추천전형엔 수능최저를 적용하지 않는 식으로 다소 복잡했지만, 올해는 ▲논술전형, 학생부교과전형, 고른기회전형, 사회통합전형에 수능최저를 적용하고, ▲학생부종합전형과 알바트로스특기자전형에는 수능최저를 적용하지 않는 걸로 단순화했다. 전형의 종류가 더 많아 반영 전형, 미반영 전형의 구분이 복잡했던데다 알바트로스특기자전형 일부가 수능최저를 적용하던 지난해 대비 크게 간단해진 모습이다.
논술에 적용하던 우선선발제가 폐지됨에 따라 논술 우선선발에만 적용하던 별도 수능최저도 폐지됐다.
올해 수능최저는 적용하는 모든 전형에서 인문계열 국B, 수A, 영어, 사회/과학탐구 중 3개영역 이상 각 2등급 이내, 자연계열 국A, 수B, 영어, 과학탐구 중 2개영역 이상 각 2등급 이내(수B, 과학탐구 중 1개 이상 2등급 이내여야 함)다. 복잡한 계산 없이 계열별로 통일, 간편한 모습이다. 탐구영역은 2개과목 응시를 기본으로, 2개과목 평균을 반영한다. 인문/사회계열에선 제2외국어와 한문을 탐구영역 한 과목으로 대체 가능하다. 물론, 제2외국어와 한문 응시는 의무사항이 아니다.
전형별 전형방법도 간소화했다. 논술전형은 우선선발 폐지로 일괄 학생부교과20%+비교과20%+논술60%를 반영한다. 학생부교과전형과 고른기회전형, 사회통합전형은 학생부교과75%+서류25%로 통일했다. 학생부종합전형과 알바트로스특기자전형은 1단계 서류100%, 2단계 서류80%+면접20%로 통일했다. 지난해엔 논술은 우선선발과 일반선발로 구분되었고 입학사정관전형은 학교생활우수자전형/자기추천전형/가톨릭추천자전형으로 세분화하면서 각 반영비율이 달랐으며, 서류심사만 하는 서류전형이 별도로 있었고, 알바트로스특기자전형은 국내고/해외고로 나눠 모집한 바 있다.
학생부반영법도 통일했다. 정성평가를 하는 학생부종합전형과 알바트로스특기자전형을 제외한 모든 전형에 학생부가 정량평가된다. 해당 전형은 논술 학생부교과 고른기회 사회통합전형이다. 전 계열 공통으로 3학년1학기(졸업생은 3학년2학기)까지의 국수영사과 관련 모든 과목을 학년별 가중치 없이 반영한다. 사회교과에 도덕 윤리 철학이 포함되고, 인문/사회계열에선 과학관련을 자연계열에선 사회관련 과목을 제외한다. 주요교과 석차등급으로 점수를 산출하며 논술전형에만 별도의 산출법이다.
논술, 분량과 시간 축소 '수험생 부담 완화'
2015 서강대 모집요강에 따른 논술전형은 예년 대비 수험생 부담을 크게 줄인다는 취지가 돋보인다. 교육부 권고이긴 하지만 우선선발 제도를 폐지, 수능점수에 대한 부담을 우선 줄였다. 기본 수능최저만 맞추면 된다. 작성 분량과 시험 시간도 축소됐다. 모든 계열 지난해 시험시간 120분에서 올해 100분으로 축소됐고, 인문/사회계열의 경우 지난해 문항1 800~1000자, 문항2 1300~1500자였던 분량을 올해 두 개의 문항출제는 유지하되 각 800~900자로 작성분량을 줄였다.
논술전형에만 정량반영되는 (학생부종합과 알바트로스특기자는 정성평가) 학생부비교과는 출결사항과 교내/외 봉사활동을 살핀다. 5개 등급으로 나뉘고, 1~4등급은 등급간 점수가 2점, 2점, 6점이지만, 5등급의 경우 점수반영을 아예 하지 않아 당락에 치명적 역할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인문/사회계열과 자연계열로 나뉘어 논술을 치른다. 자연과학부와 공학부를 제외한 모든 학부가 인문/사회계열이다. 고교 교육과정 범위 안에서 인문/사회계열에선 인문/사회과학 관련 제시문과 논제가, 자연계열에선 수리 관련 제시문과 논제가 출제된다. 각 계열 두 개의 문항이 출제되고, 문항점수의 비중은 동등하다. 인문/사회계열은 문항당 800~900자의 답안분량으로 지난해보다 축소됐고, 자연계열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답안분량에 제한이 없다. 각 계열 시험시간 100분으로 동일하다. 지난해 각 120분에서 크게 축소됐다.
논술 빼곤 모든 수시전형 서류평가
2015 서강대에서 자기소개서 추천서 활동보충자료 등 서류는 매우 중요하다. 논술전형을 제외한 모든 전형에서 서류심사를 하기 때문이다. 해당 서류는 ▲학생부교과와 고른기회, 사회통합전형의 경우 학생부비교과 자소서 추천서, ▲학생부종합과 알바트로스특기자의 경우 학생부(교과/비교과) 자소서 추천서 활동보충자료다.
자소서는 총 4개 문항이다. ▲고교 재학기간 중 학업에 기울인 노력과 학습계획에 대해 배우고 느낀 점 ▲고교 재학기간 중 의미를 두고 노력했던 교내활동을 배우고 느낀 점 중심으로 3개 이내(학교장 허락 하 교외활동 포함) ▲학교생활 중 배려 나눔 협력 갈등관리 등을 실천한 사례와 과정을 통해 느낀 점 외에 ▲주제선택(지원자의 환경적 특성이 삶에 미친 영향/3년 간 개인적 관심 또는 역량계발에 대한 경험적 사례/자유주제 중 택1)으로 구성돼 있으며 2번문항이 1500자 이내, 이외 문항은 1000자 이내의 분량이다.
학생부교과, 학생부종합전형의 경우 자소서와 추천서에 공인어학성적, 수학/과학/외국어 교과에 대한 교외 수상실적, 교과명이 명시된 학교 외 각종 대회 수상실적, 학교장 허락을 받았더라도 교외 수상실적을 기재하면 0점 처리된다. 해외어학연수 등 사교육 유발요인이 큰 교외활동은 작성해도 평가에 반영하지 않는다.
학생부종합과 알바트로스특기자전형에 제출하는 활동보충자료는 필수제출서류는 아니다. 지원자가 필요하다 판단하면 제출하는 서류다. 지원자의 역량을 드러낼 교과/비교과 활동중요도 순으로 최대 다섯 가지를 입력한다. 국내고 재학 중에 취득한 공인어학성적, AP/SAT성적, 사설기관과 연계된 해외봉사활동이나 리더십 프로그램, 교외수상실적은 작성해도 평가에 반영하지 않는다. 알바트로스특기자전형의 경우에만 교내외활동에 대해 자유롭게 쓸 수 있다. 자소서 학생부에 기재된 내용일지라도 강조하고 싶은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학생부종합과 특기자전형의 면접, 전형별 시선 달라
면접은 학생부종합전형과 알바트로스특기자전형에만 실시한다. 학생부종합의 경우 일반면접으로 제출서류를 바탕으로 학업능력과 의사소통능력, 인성 등을 종합평가한다. 알바트로스특기자전형은 전공적성을 살핀다. 외국어특기자의 경우 전공적성과 언어구사능력(지원전공 해당 언어)을, 수/과학특기자의 경우 전공적성과 수리능력을 주로 보고, Art&Technology의 경우 창의성과 문제해결력, 다면적 사고력, 의사소통능력 등을 종합평가하는 식이다.
2015 서강대 수시전형 원서접수는 9월12일부터 15일까지다. 서류제출은 학생부교과는 11월14일부터 18일까지, 이외 전형은 모두 9월12일부터 16일까지다. 면접을 치르는 알바트로스특기자전형과 학생부종합은 1단계 합격자를 특기자전형은 10월7일 오후5시, 학생부종합전형은 10월21일 오후5시에 발표한다. 논술은 자연계열은 11월15일에, 인문계열은 11월16일에 치른다. 최초합격자 발표는 알바트로스특기자와 학생부종합전형은 11월8일에, 이외 전형은 12월6일에 있을 예정이다. 추가합격자 발표는 12월11일부터 12월15일 저녁9시까지 이뤄진다.
| ||||||||||||||||||||||||||||||
"누구에게나 열린 기회, 차별화로 잡았죠"
| ||||||||||||||||||||||||||||||
[대입 입학사정관제 뛰어넘기]서강대-사진 도배된 봉사활동기 사절
자소서는 창의적 경험 기술을
서강대 입학사정관실이 출발부터 가졌던 문제의식은, '어떤 인재를 어떻게 발굴, 선발, 육성할 것인가'였다. 지난해 그 구체적인 답, 즉 'SEHB'를 찾았다. 인재상은 '서강인재지수'(SIQ)로, 발굴방법은 '고교별 비교과지표'(EAI), 선발방법은 '총체적 정성평가'(HQE), 육성방법은 < 학부교육선진화 선도대학지원사업 > 과의 연계를 통한 '사후관리체계'(BFS) 등을 통해 서강형 입학사정관전형을 구축했다고 자부한다. 이에 기반하여, 서강대는 2010학년도에 6개 전형, 216명의 신입생을 선발하였는데, 이들 신입생을 이제 'BFS'를 통해 완전한 '서강형' 인재로 키울 것이다.
2011학년도 입학사정관전형은 신설된 3개 전형, 즉 수학 및 과학특기자들을 선발하는 < 글로벌과학인재전형 > , 전공과 관련된 특별한 재능이나 특기, 모범활동을 한 학생들을 뽑는 < 특기자전형 > , < 가톨릭고교장추천전형 > 과 작년에 입학사정관전형이 아니었던 < 학교생활우수자전형 > 이 새로 추가되었고, 기존의 < 기회균형선발전형(수시2차 및 정시) > , < 특수교육대상자전형 > 등 총 7개 전형에서 292명을 모집한다.
입학사정관전형 지원자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것은 아마도 서류 작성방법일 것이다. 우리는 학생들의 직간접적인 활동이 학생부에 양적·질적으로 풍부하게 작성되어 있는 것을 원한다. 이를테면 봉사, 독서, 창의적 체험, 독특한 경험 등이 있으면 기록으로 만들어 담임선생님께 제출, 학생부에 기입되도록 해야 한다. 질적으로 풍부한 내용, 이를테면 '내가 왜 그 활동을 시작했는지?' '그 활동을 통해 자신, 이웃, 사회를 바라보는 인식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등이 구체적으로 적혀있다면 입학사정관의 시선을 끌 것이다. 자기소개서는 기본적으로 정직, 솔직하게 작성해야 한다. 절대로 입학사정관들을 속이려고 해서는 안 된다. 혹시 입학사정관들이 자세히 읽지 않을 것이며, 그것을 어떻게 사실 확인할 수 있을까 지레 생각하고 있다면 그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추천서는 '평소 추천학생을 얼마나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있는가?'가 드러나는 것이고, 그것이 평가에 중요하기 때문에 학생들이 평소 교사들과 자주 의사소통하는 것이 중요하다. 평소 학생들의 생각, 활동 등을 지속적으로 교사들에게 알려주어 선생님들이 학생들을 속속들이 알고 있어야 추천서의 내용이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풍부해진다. 이런 추천서는 피상적이고 상투적인 추천서와는 비교가 되지 않는 것이다. 올해부터 우리는 증빙자료의 분량을 제한할 계획이다. 이 자료에는 학생부, 자기소개서에서 다하지 못했던 이야기가 있으면, 과정 중심으로 작성하면 된다. 혹시 사진으로 도배하는 증빙자료가 있는데,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한다. 봉사활동 나가서 사진만 찍었다는 불필요한 오해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면접도 중요하다. 학생부, 자기소개서, 증빙자료 등을 숙지해야 한다. 면접에서는 서류에 대한 사실 확인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에게 부탁하고 싶은 말은, 대학에 진학하는 여러 가지 방법 가운데 하나가 입학사정관전형이다. 학생들 가운데 서강대가 원하는 인재상과 부합하는 활동, 체험 등에 대한 실적이 있다면 여러모로 유리할 것이다. 혹시 학생들 가운데 1, 2학년부터 입학사정관전형에만 전념하는 학생들이 있다면 다시 생각해봐야 한다. 서강대 입학사정관들이 주목하는 공동체의식, 자율성, 긍정성 등은 모든 학생들이 성과를 낼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일부 학생들 가운데 여기에 특별한 관심과 활동이 있다면 지원해볼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성적을 완전히 무시하는 입학사정관전형은 없다. 서강대도 예외가 아니다. 경향신문 | 정성원|선임입학사정관 | ||||||||||||||||||||||||||||||
학사 계열 관계없이 2개 이상 전공 이수… 일반서류 전형 신설, 학생부 성적 안 봐
이욱연 서강대 입학처장
이욱연 서강대학교 입학처장에 따르면 서강대 재학생은 미국·유럽 대학생 못지않게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방식으로 공부한다. “팀 프로젝트나 토론을 통한 학습에 특히 익숙합니다. 실제로 우리 대학 학생들은 최근 1년 내 개최된 3대 대학생 마케팅·전략 공모전을 휩쓸었습니다. 국내 유수 기업 주최 광고대상과 제18회 모의유엔대회 대상 수상자도 서강대 출신이었죠. 이게 다 서강대 특유의 학풍이 일궈낸 성과입니다.”
| ||||||||||||||||||||||||||||||
입학사정관전형 면접 준비하기
면접은 서류의 진위여부와 서류 사이의 간극을 메우는 역할을 합니다. 더불어 인성, 학업 잠재력, 전공에 대한 열정 등을 집중적으로 검토합니다. 그래서 면접에 앞서 제출 서류의 숙지, 자아성찰과 가치관 정리, 자신을 입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고민, 태도가 중요합니다.
면접 준비하기
서강대입학사정관 전형의 면접은 다수의 입학사정관에 의한 대면면접을 20분 내외로 진행합니다. 누구에게나 동일한 시간이 주어져 있음과 입시의 최종관문임을 생각한다면 두려움을 떨치세요. 면접자가 자신을 보다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방법을 알고 있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 입니다.
입학사정관 Tip : 두려움을 떨치고 자신 있게 면접에 임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이를테면 독서와 봉사, 토론 등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독서를 많이 한 학생은 사고가 풍부하고 논리적이고 조리있게 자신의 이야기를 합니다. 봉사를 꾸준히 한 학생은 적극적인 태도와 배려를 토대로 다양한 사람과 대화를 하여 누구보다 안정적이면서 효과적인 말하기를 합니다. 토론을 많이 접한 학생은 질문의 요지를 잘 파악하며 논리적이면서 창의적인 답변을 합니다. 면접의 노하우는 하루아침에 만들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자신에 대해 고민하고 다양한 경험을 하십시오. 그것이 바로 면접을 준비하는 지름길입니다.
면접태도
요령1. 면접시 질문을 잘 듣지 못했거나 이해 못 했을 때는 다시 질문해 달라고 요청해도 됩니다.
입학사정관도 면접시 학생이 많이 긴장하고 있음을 알고 있습니다. 너무 긴장해서 머리가 아프거나 목이 마르다면 입학사정관에게 자신의 상황을 설명하면 잠시 시간을 줍니다.
요령2. 면접시 솔직하게 말하고 바른자세와 자신있는 표정, 어투를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면접에 오기까지 다수의 입학사정관이 서류를 검토하게 됩니다. 이때 각각의 사정관이 서류에 대한 검증을 개별적으로 시행합니다. 입학사정관이 서류 확인과 관련된 질문을 할 때는 솔직하게 답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이때 자신감 있는 표정과 바른 자세는 좋은 인상을 주게 됩니다.
|
댓글 없음:
댓글 쓰기